■北 '핵개발 완성 목표' 6차 핵실험 임박했나?
뉴스12017.03.24조규희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2630207
"김정은 지시하면 언제든 핵실험 가능"
美 공군, 북핵실험 이후 공기 샘플 채취용 정찰기 배치
지난 1월 5일 북한 길주군 풍계리의 핵실험장 위성사진. (38노스 캡처)
■美 "북한, 이르면 이달말 6차 핵실험 실시 가능성"
서울경제 2017.03.24 이수민기자
http://v.media.daum.net/v/20170324175158903
"기존 핵실험과 유사한 움직임 포착돼"
38노스 "풍계리 핵실험장 유력"
안보리, 지난 19일 미사일 발사 비난 성명 채택
북한이 수일 내 6차 핵실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미 폭스뉴스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폭스뉴스는 미국 국방 당국자를 인용해 “핵실험은 이르면 이달 말 실시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또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에 새로운 갱도 굴착 작업을 마무리하고 핵실험 준비를 거의 마쳤다”며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추가 핵실험을 위해서는 몇 개의 추가 장비 이동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FP통신도 같은 날 익명의 국방 당국자를 인용해 “북한 핵실험장 주변에서 기존 핵실험 때와 유사한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앞서 미국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의 북한전문 웹사이트 38노스도 최근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풍계리 핵실험장의 북쪽 갱도 입구에서 상당 규모의 굴착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 곳은 과거 다섯 차례 지하 핵실험 가운데 네 차례 실험이 진행된 곳으로 공사 규모와 지질구조를 근거로 최대 282kt(28만2,000톤)의 폭발력을 견딜 수 있는 지하굴이라고 38노스는 추정했다.
이 같은 관측대로라면 북한은 이달 중 지난해 9월9일 이후 6개월 만에 핵실험을 시도하게 된다.
..이하전략
====================================
[참고요]
■[핵확산금지조약(NPT)] 북한의 '핵보유국' 착각...파키스탄과 다르다
한국일보 2016.09.14 송용창기자
http://blog.daum.net/bstaebst/18477
북한의 실제 핵능력과 핵보유국 인정은 차원이 다른 별개의 문제입니다.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NPT 체제의 구속력, 그리고 NPT체제의 유지 여부와 직결돼 있기 때문입니다.
눈여겨볼 것은 파키스탄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받은 적이 없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북한은 왜 유엔 제재, 즉 국제사회 전체로부터 제재를 받고 있는 것일까요. 북한은 중요한 출발선에서부터 파키스탄과 다른 것입니다. 북한이 모델로 삼아야 하는 나라는 파키스탄이 아니라 이란입니다.
1970년 NPT가 발효된 이후 NPT 가입국 중 NPT에서 탈퇴한 나라가 없고, 비핵보유 가입국 중 핵보유국으로 인정된 나라도 한 곳도 없는 것입니다. 현재 NPT는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190개국이 가입해 있습니다.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외에 다 가입해 있는 것입니다.[요약]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도 아닌데 美 항모 2대나 배치한 이유...선제타격과 참수작전 가능 (0) | 2017.03.25 |
---|---|
대북 선제타격용 美 F-35B 스텔스기 6~8대, 한국서 첫 정밀폭격 훈련 (0) | 2017.03.25 |
■[비동맹 체제의 통일 한국] '원 코리아 - 원 차이나' 맞교환론 (0) | 2017.03.25 |
●미국의 대북 압박 카드, 선제타격·경제제재 등 모든 가능성 ‘만지작’ (0) | 2017.03.24 |
◆[정규재 TV] 정규재 칼럼;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출마 선언문을 보고… (0) | 2017.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