쿼티(QWERTY) 자판이 빡빡하게 배열된 스마트폰만 봐도 기겁해서 손을 놓아버리는분들... 모바일이 중심이 된 현대 사회에서 모
이를 '폰맹' 이라고도 할 수 있을텐데요. 이로인한 '사회적 빈부 격차', 앞으로 점점 그 차이가 심해질 것 까지 감안한다면, 어떻게 보면
이런 문제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각계각층에서 관심을 가지고 이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야한다고 보는데요. 우선 이 폰맹 현상을 만드는 데 관계된 이해당사자들이 먼저 팔을 걷어부치고 나서는 모습이 가장 자연스러워보입니다. 휴대폰 제조사나 이통사들이 그런 역할을 해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죠. :)
스마트폰 아카데미를 가다!
스마트폰 아카데미는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신청을 받아 아카데미 내에서 스마트폰 사용법을 세세하게 가르쳐주는 자리인데요. 그 강의의 레벨이 상당히 구체적입니다.
실제로 앱스토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해서 다운받는법, 이메일 보내는 법과 같은 아주 기초적인 부분부터 스마트폰을 TV와 연결해서 동영상을 감상하는 법 등 어느정도 레벨이 필요한 부분까지 많은 부분을 소개해줍니다.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들이 이런 기회가 아니라면 그냥 어렵게 생각하고 포기해버릴만한 부분이 많이 해소될 수가 있겠더군요. 그 목적이야 자사 제품의 홍보가 우선이었겠지만 그 아카데미에 참가한 사용자들의 면모와 또 강의에 임하는 자세를 보면
실제로 이곳에는 나이가 꽤 지긋하신 어르신들이 꽤 보였습니다. 그런 분들이 안경 너머로 스마트폰을 보며 강사가 가이드하는대로 하나하나 따라하면서 고개를 끄덕이는 모습을 보니 정말 요즘같은 때, 그리고 앞으로도 우리사회에 꼭 필요한 교육이 이런 것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삼성 갤럭시S 아카데미 같은 경우 강남역 삼성전자 본관에서 열렸는데요, 그곳에서만 열리는 행사가 아니고 전국 5대도시 여러 지역에서 같이 진행되는 행사입니다. 그리고 이런 집합교육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방문 교육이나 온라인 아카데미도 진행되는 등 꽤 짜임새 있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이와 비슷한 행사를 이통사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좀더 큰 규모로 양성화되고, 자사 모델만을 위한 홍보보다는 보다 연합한 조직을 통해 순수한 교육 목적에 좀더 촛점이 맞춰지길 바랍니다. 서울 뿐만이 아니라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오히려 지역적으로 보면 지방 소도시에서 좀더 이런 자리가 필요합니다.
제가 대학에 입학할때쯤 부터 들었을까요?
그런데 이런 '컴맹' 이라는, 사회적인 진화속도가 만들어낸 현상이 미처 사라지기도 전에 그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우리를 또 몰
아치고 있는 현상이 있습니다. 바로 '모바일(mobile)' 기술 속도의 빠른 진화가 낳은 또하나의 컴맹, 바로 '폰맹' 현상이죠.스마트폰에서 보는 트위터를 통해 세상 그 어떤 신문이나 심지어 인터넷뉴스보다도 더 빠른 뉴스를 접하고, 주요 이슈들을 검색
하며, SNS 혹은 모바일 구독기(RSS 리더류)를 통해 보다 정제되고 신뢰도 있는 정보를 섭취하는 이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정보를 습득하는 속도 및 그 양에 있어서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심지어 정보를 제대로 못찾는 경우에도 그들이 궁금한
것을 SNS에 던져 답을 찾는 속도는 지식인과 같은 구세대 툴보다도 훨씬 빠른 속도와 정확성을 보여주죠. 또한 정보와 정보들이 이어지면서 거기에 살과 살들이 붙으면서 또하나의 지식을 얻게되고 도서관에서 책을 찾아가며 얻던 정보의 양보다 더 빠르게 유사한 양의 지식을 확보할수도 있습니다.이러한 상황에 대해서는 영리단체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하루빨리 관심을 갖고 나서야 하겠습니다. 작게는 방통위가 나서서 이런 움직임을 유도해줄 수도 있을 것이고 더 크게는 IT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지식경제부나 교육과학기술부, 여성가족부 등도 모두 나서서 전국에 걸친 이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이런 변화를 빨리 감지하고 이런 격차를 최소화할수 있다면 그 또한 큰 국가경쟁력으로 나타나게 될 것은 자명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이 사회적 빈부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 하루빨리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입니다. :)
정책공감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하여 공지사항 내 "정책공감 블로그 댓글정책"을 참조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책공감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마트TV와 영상통화의 융합! 성공 조건은? (0) | 2010.10.14 |
---|---|
[스크랩] 스마트TV와 영상통화의 융합! 성공 조건은? (0) | 2010.10.14 |
방통위, 인터넷광고시장 활성화 종합계획 발표 (0) | 2010.10.14 |
페이스북 vs.트위터, 가치가 높은 쪽은? (0) | 2010.10.14 |
[세계지식포럼] 통신리더들 모바일컨버전스 논하다 (0) | 201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