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칼럼] 4차 산업혁명과 미래의 교육방향
헤럴드경제 2016.12.27 정제영 이화여대 교수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1227000378
현재 우리 사회는 미래의 교육을 논할 여유가 없는 듯 하다. 지난주 교육부가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이라는 정책을 발표했지만, 국민들이 미래 교육 정책에 대해 관심을 갖기에는 탄핵정국, 학교 현장의 A형 독감 유행에 이르기까지 현안이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중략>
교육부가 발표한 미래 교육의 기본 전략은 ▷유연화 ▷자율화 ▷개별화 ▷전문화 ▷인간화 등 5가지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유연화는 기존 학교제도가 산업화 시대의 산물로서 가지고 있는 경직적이고 획일적이라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학점제와 무학년제 등 유연한 학교제도로의 전환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율화는 중앙집권적인 교육과정과 평가에서 벗어나 교사가 수업의 운영과 평가의 과정에서 자율성을 갖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개별화는 제4차 산업혁명의 지능정보 기술을 활용해 모든 학생이 학습에서 성공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넷째, 전문화는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 전문가를 양성해 국제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는 인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의미가 있다.
다섯째, 인간화는 승자독점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간소외와 양극화를 극복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하다.
교육부의 미래 교육 정책 시안의 방향은 많은 부분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정책의 실효성있는 추진을 위해서는 정책의 확정과 체계적인 집행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미래 교육 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몇 가지 경계해야 할 사항이 있다.
<중략>
제4차 산업혁명은 이제 미래가 아니라 현실로 다가왔다. 미래 교육을 설계하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생존을 위한 필연적 과제다. 전 국민이 마음의 여유가 없는 상황이지만 미래 교육을 설계하는 일을 늦출 수는 없는 상황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차 산업혁명 핵심 인공지능, 일자리 약탈?…'양날의 칼' 주목 (0) | 2017.01.07 |
---|---|
양극화의 고착화, 원인과 대안...한국, 국가 구조개혁 시급하다 (0) | 2016.12.28 |
[리크루팅의 미래] 토마스 프레이 "2020년 프리랜서 40% 육박" (0) | 2016.12.27 |
[1인기업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상상력`이 핵심이다 (0) | 2016.12.27 |
[제4차 산업혁명] 미래지향 개헌논의, 바로 지금 시작해야 (0) | 2016.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