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북핵, 시간은 우리 편이 아니다
한국경제 2016-09-29 김영용 < 전남대 교수·경제학>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92966121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우리에 대한 핵무기 위협은 가시화됐고, 이제는 핵 위협을 중화할 수 있는 실질적 자위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급박한 현실이 됐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애써 무시하거나 방관한 역대 정권의 행적에서 교훈을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당장 핵 위협에 대응하는 길을 찾는 것이 급선무다.
국제 사회가 북한의 핵무기를 특별히 문제 삼는 이유는 북한이 인류 사회의 평화와 공영을 지향하는 정상 국가가 아니라는 인식 때문이다. 이는 북한의 정체(政體)가 군주정이 타락해 이르게 되는 참주정(僭主政), 즉 권력자가 국가를 도덕·법·규율이 아니라 자신의 기분이 내키는 대로 통치하는 정체에서 비롯하는 것이다.
우선 북한의 핵무기 폐기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포기할 이유는 없다. 핵무기 보유 비용을 지급할 필요가 없고 상호 핵 위협에 노출되지도 않는 가장 바람직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시간만 벌어줬을 뿐 실현 불가능해 보인다. 그렇다면 주민들의 삶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정권 유지가 목적인 북한 정권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대전제로 우리도 북한의 핵무기를 상쇄 또는 압도할 만한 무력을 확보하는 길밖에는 다른 선택이 없다. 이른바 ‘죄인들의 딜레마’ 상황이다.
한국이 핵무기 개발에 나선다면 미국 및 중국과의 관계 냉각, 무역 제재 등을 통한 국제 사회의 압박과 들끓는 국내 여론 등의 난제에 봉착할 것이다. 그러나 북핵 문제는 지금보다 더 크고 광범위한 국제적 의제가 돼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주요 각국이 그 해결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토록 하는 결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중략>
국가의 존재 목적은 내외적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런 의지와 능력 및 책략이 없으면 국가의 존재 의미는 없다. 해군 기지 건설과 사드(THAAD·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구축 등의 문제에 당면해 심한 홍역을 앓고 있는 지금 한국의 모습을 보면 우리가 과연 국가의 존재 이유를 알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국가 방위는 궁극적으로 자국민들이 주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일이다. 이제는 대통령을 중심으로 모든 국민이 온갖 어려움을 이겨 나갈 각오로 핵무기 자체 개발을 포함한 대안들을 현명하게 검토해 결정하고 실천해야 한다. 여야는 국가가 없이는 정권도 없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시간은 우리 편이 아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駐韓미군사령관, CIA국장·특수전 사령관 회동...김정은 참수작전 협의 (0) | 2016.10.01 |
---|---|
한국 정부, 경북 성주군 성주골프장에 사드배치 확정...내년 중 배치 완료 (0) | 2016.09.30 |
[압승 예상]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 미친 게 아니라 지극히 정상 (0) | 2016.09.30 |
무질서와 무능력의 절망적 도돌이표...북핵·지진만 불안한 게 아니다 (0) | 2016.09.30 |
또다시 미국에서 힘 받는 ‘북한핵 폭격’...선제 군사행동 예고 (0) | 2016.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