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스토리)'포켓몬고' 열풍 불러온 '증강현실'…IT플랫폼 지형 바꾼다
뉴스토마토 2016.07.18 원수경기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673123
2020년 900억달러 시장 열려…MS '홀로렌즈'·구글 '탱고' 등 기술개발 활발
개인용 컴퓨터(PC)에서 인터넷, 모바일로 진화해 온 디지털 플랫폼이 또 한번 큰 변화를 앞두고 있다. 이른바 '플랫폼의 제4의 물결' 이다. 이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과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융합현실(MR·Mixed Reality)이다.
변화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생소하게 느껴지던 증강현실은 '포켓몬고(GO)'라는 메가히트 게임을 통해 어느새 친숙해졌다. 360도 영상과 이를 찍을 수 있는 카메라, 저가형 VR 기기의 보급을 통해 가상현실도 성큼 다가왔다. 지난 12개월동안 관련 기업에 들어간 투자금액만 20억달러에 달하는 등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플랫폼 시대가 눈 앞에 다가오고 있다.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고(GO)'가 그야말로 돌풍이다. 구글이 지난 2014년 만우절 장난으로 '포켓몬 챌린지'를 선보인지 2년 만에 구글 사내벤처 출신 기업인 나이앤틱이 진짜 포켓몬 게임을 내놨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현실 세계를 비추면 그 위에 나타나는 가상의 포켓몬을 잡는 게임인 포켓몬고는 증강현실이 무엇인지 대중에게 확실히 알렸다.
미국 마이애미에서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고'를 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 사진/뉴시스·AP
포켓몬고의 성공을 바탕으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융합현실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실제 세계에 가상의 이미지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포켓몬고 이전 증강현실을 활용했던 대표적인 기기로는 '구글글래스'가 있다.
< 중략>
가상현실은 현실과는 차단된 가상세계로 머리에 쓰는 헤드마운트디바이스(HMD) 등을 통해 체험할 수 있다. 삼성의 기어VR이나 페이스북이 인수한 오큘러스의 오큘러스VR, 두꺼운 종이로 만든 체험용 기기인 구글 카드보드 등이 대표적인 가상현실 기기다. 융합현실은 현실세계를 반영한 가상세계를 구현한 것이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한 데 섞은 것으로 현실을 일부 반영해 가상현실의 이질감을 완화하면서 증강현실의 낮은 몰입도를 보완할 수 있다. 현재 융합현실에 대한 정의는 업계 내에서도 명확하게 내려지지 않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융합현실 콘텐츠가 주류로 자리 잡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AR, 2020년 900억달러 시장…VR보다 세배 커
<중략>
헬스케어·전자상거래 등에도 적용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이 차기 플랫폼으로써 가지는 경쟁력은 넓은 확장성에 있다. 실제 세계를 차단하지 않는 증강현실은 가상현실보다 더 폭넓은 적용성과 확장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장 규모가 가상현실의 세배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도 이 같은 점을 바탕으로 한다. 디지캐피탈은 "가상현실은 엔터테인먼트에 앱이 더해진 형태라면 증강현실은 앱에 엔터테인먼트가 더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상현실은 기본적으로 게임이나 영상 같은 엔터 시장을 주축으로 하는데 반해 증강현실은 현재 스마트폰 시장의 대부분을 잠식할 잠재력을 지녔다는 설명이다.
비디오게임이나 실시간 중계, 영상 같은 엔터테인먼트 측면을 제외한다면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은 전자상거래, 부동산, 교육, 헬스케어, 엔지니어링, 군사 등의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2025년 전체 시장 중 이같은 비 엔터테인먼트 영역의 비중이 절반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중략>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순간이동을 현실로
증강현실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및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화제성 면에서는 나이앤틱의 포켓몬고가 단연 앞서지만 기술적 측면을 보자면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가장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홀로렌즈. 사진/마이크로소프트
<중략>
'탱고폰' 선보인 구글, '구글글래스' 부활도 노려
구글은 증강현실을 스마트폰 등 모바일 환경에서 구현하도록 하는 기술인 '프로젝트 탱고'를 개발 중이다. 스마트폰에 달린 3차원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실제 이미지를 찍고 스크린에 가상 이미지와 합성해 보여주는 방식이다. 구글은 지난달 레노버와 함께 개발한 탱고가 적용된 스마트폰인 '팹 2 프로'를 공개한 바 있다.
지난달 구글과 레노버가 증강현실 기술 '탱고'가 적용된 스마트폰 '팹2'를 공개하는 자리에서 조니 리 구글 탱고 엔지니어링 디럭터가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해 빈 공간에 의자를 가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AP
구글글래스 부활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구글은 올해 중으로 새로운 버전의 구글글래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3년 공개됐던 구글글래스는 사생활침해 등의 문제로 2년 만에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 고' 광풍...현실감에 홀려 깨어난 유희 본능 (0) | 2016.07.18 |
---|---|
[포켓몬 고 열풍] 존 행크 나이앤틱 CEO "한국에도 곧 출시할 것" (0) | 2016.07.18 |
닌텐도와 나이앤틱의 모바일 게임 '포켓몬 고’ 열풍과 AR 기술의 과제 (0) | 2016.07.18 |
모바일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 고' 유럽 전역으로 확대...34개국 출시 (0) | 2016.07.18 |
닌텐도의 스마트폰 AR 게임 ‘포켓몬 고’가 알려주는 혁신의 축적 (0) | 2016.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