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부채비율 맞추기, 해운업 모르는 무능경영진… 반짝 호황에 눈먼 업계·정부, 구조조정 시기 놓쳤다
조선일보 2016.06.16 이인열/이성훈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16/2016061600042.html
[추락하는 '海運 코리아'] '4각 파도'에 휩쓸린 한국 해운
- '200% 룰'이 해운업 위기 촉발 해운업은 금융권에서 돈 빌려 컨테이너선 구매하는 게 관행 200% 맞추느라 자산 팔고 신규 선박 확보에 차질 빚어
- 경영진, 위기관리 대응 실패 정몽헌·조수호 두 오너 死後, 경영 경험 없는 오너가 승계 외국계 은행 출신 기업인이 전문 경영인으로 들어오기도
- 어설펐던 정부의 구조조정 2009년 대상에 포함됐으나 운임 회복에 구조조정 지연 2013년 다시 시도했지만 해운사 회사채 발행하며 버텨
- 해운업계 毒이 된 일시적 호황 2008년 베이징올림픽 앞두고 중국발 물동량 크게 늘자 10년 이상 장기 계약으로 배 빌려… 리먼 파산사태 이후 나락으로
①IMF 이후 설정된 '부채비율 200%' 덫
IMF 외환 위기가 진행되던 1998년 3월. 당시 은행감독원은 53개 국내 재벌 기업에 1999년 말까지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낮추라고 요구했다. 국내 대기업들의 이른바 '문어발 확장'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200% 룰'이 지금의 국내 해운업 위기를 촉발시킨 원인 중 하나라는 지적이다.
한 척에 수백억~수천억원하는 배를 해운사들이 자기 자금만으로 사기는 어렵다.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서 사야 하는데 그럴 경우 부채비율 200%를 맞추기가 불가능하다.
<중략>
②능력 없는 경영진의 등장
우리 해운사들이 배를 내다 판 직후인 2003년부터 중국·동남아 중심으로 전 세계 해운 호황이 시작됐다. 이때 배가 없던 우리 해운사들은 앞다퉈 비싼 용선료를 지불하며 배를 빌렸다. 결국 이런 관행이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 최근 3년간 국내 해운사들이 매년 지급한 용선료만 2조~3조원에 달한다. 용선 계약은 대개 15년 이상 장기 계약이어서 불황기에 접어들면 두고두고 부담이 된다. 이병남 보스턴컨설팅 서울사무소 대표는 "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규제 때문에 우리 해운사만 손발이 묶인 꼴"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현지 기자
최근 해운업 위기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글로벌 경기 불황으로 물동량 자체가 줄어든 데다 업체 간 경쟁 심화로 운임마저 낮아진 게 원인이다. 하지만 유독 국내 양대 해운사인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이 더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경영진 탓이 컸다는 분석이다. 두 회사의 오너는 해운업 경험이 전혀 없었고 전문 경영인들 역시 무능했다.
<중략>
③일시 호황에 눈먼 해운업계
<중략>
④구조조정 시기 놓친 정부
<중략>
선주협회 조봉기 상무는 "돌이켜보면 글로벌 해운업계가 2006년부터 장기 불황에 빠졌지만, 2008년과 2010년의 일시적 호황을 장기 호황의 시작으로 해운사들이 오판했다"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만이 희망이다] 최저임금과 기본소득을 위한 변론 (0) | 2016.06.17 |
---|---|
정재승 KAIST 교수 “인공지능 극복할 창의적 인간 교육 필요해” (0) | 2016.06.16 |
일본 언론 "한국은 세계 제1의 사기 대국이자 부패 대국" (0) | 2016.06.16 |
[100세 시대 노후절벽] 노후준비 충분 10명중 1명뿐…은퇴후 암담한 한국 (0) | 2016.06.16 |
최윤식 미래연구원 원장 “10년내 30대 그룹 절반 사라질 수 있다” (0) | 2016.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