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전기차 전쟁]⑲ "3년 남았다. 한국 두려워 주저하면 주도권 뺏긴다"
조선일보 2016.06.11 윤희훈/허욱/ 전효진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11/2016061100592.html
토니 세바·김상협 교수 대담
에너지 전문가 토니 세바는 자신의 저서 ‘에너지 혁명 2030’에서 태양광,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등의 부상으로 일어나는 전통적 에너지 산업의 붕괴를 예측했다.
삼성, LG, SK, 포스코 등 국내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앞다투어 ‘에너지혁명 2030’을 탐독하고 세바의 분석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중략>
조선비즈는 6월 8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16 미래에너지 포럼’에 토니 세바를 초청, 국내 에너지 전문가로 불리는 김상협 KAIST 교수와의 대담 시간을 가졌다. 두 혁신가는 냉철한 현실 진단과 함께 “혁신을 두려워하면 미래는 없다. 파괴는 반드시 이뤄진다. 두려움 때문에 파괴적 혁신을 피한다면 결국 다른 사람에게 주도권을 뺏기게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토니 세바는 “기업이 혁신한다는 것은 스스로에게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역량을 키워야 하고, 기업 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바는 “파괴적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기존 산업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쳐서는 안 된다. 새로운 선수가 자유롭게 기업활동을 할 수 있게 내버려둬야 한다”고 했다.
◆ 정부, 기존 사업 보호=돈을 버리는 행위
세바는 “2030년이 되면 태양광이 모든 에너지 공급원이 될 것”이라며 “정부가 기존의 에너지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한다거나 신규로 석탄발전소 짓는 것은 돈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행위”라고 말했다.
이에 김상협 교수는 “태양광이 상당한 에너지 공급원이 되겠지만 100%까지 갈 것인지에 대해선 의구심이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도 2050년이 되면 태양광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할 것이지만 100%는 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반문했다.
세바는 “역사를 살펴보면 IEA나 전문기관의 예측이 상당히 많이 빗나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태양광은 명백한 미래에너지”라며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이다. 시장도 태양광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했다.
그는 또 대체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원자력에 대해서도 “태양광의 가격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도 사라지게 될 것”이라며 “지난해 파리기후회의에서도 에너지 가격에 시장 메커니즘이 작동하도록 정부가 개입하지 말자고 제안한 것도 이런 흐름을 막지말자는 뜻이었다”고 했다.
세바는 작년 말에 열린 파리기후회의의 결과에 대해선 “온도 변화를 낮추자고 한 데 뜻을 모은건 의미가 있지만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데까진 미치지 못했다. 다소 실망스럽다”며 “각국 정부들이 기존의 에너지산업을 아직 무너뜨리고 싶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평가했다.
◆ “자동차의 미래는 전기차·자율주행차…현대차 주력하는 수소차는 경쟁력없어”
세바는 “2030년이 되면 모든 자동차가 전기차가 될 것”이라며 “전통적 자동차 업체의 동의는 상관없다. 테슬라, 우버, 바이두 같은 회사들 이런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바는 현대차가 개발 중인 수소연료전지차에 대해선 ‘경쟁력이 없다’고 평가했다.
그는 “수소연료는 기존의 석유나 가스 시스템을 그대로 복제하는 것”이라며 “수소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려면 거대한 정유 시스템과 엄청난 양의 물이 필요하다. 파이프라인·충전소 등 수조원에 이르는 인프라 투자를 해야한다”고 했다. 현재 도로 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석유차보다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진단이다.
<중략)
세바는 이어 “2030년이 되면 모든 자동차가 자율 주행을 하게 될 것”이라며 “스탠포드대에서 레이싱 실험을 했는데, 이제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가장 훌륭한 카레이서를 앞서고 있다”고 말했다.
김상협 교수가 “앞으로 운전을 못하게 된다니 좀 슬프다”고 언급하자, 세바 교수는 “지금 말(馬)을 더이상 고속도로에서 볼 수 없지 않느냐. 말을 타려면 승마장으로 가야 한다”며 “자동차 운전을 하고 싶다면 서킷 같은 곳으로 가야할 것”이라고 했다.
<중략>
세바는 한국이 전기차 시장에서 승리할 기회는 3년밖에 남지 않았다고 했다. 세바는 “3년이란 시간은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변곡점이 되기 충분한 시간이다. 이 때 시장에 제품이 나와있지 않으면 급속히 도태될 것”이라며 “빨리 투자하고 본격적인 경주가 시작되는 2020년대에 확장만 하면된다. 한국에도 21세기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회사가 탄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하 전략
☞관련기사
[2016 미래에너지] "에너지 인터넷이 기존 산업 완전히 파괴" '에너지혁명 2030' 저자 토니 세바 <2016.06.08>
[2016 미래에너지] 미래 에너지원 문제 고민 필요..."소규모 분산 발전 시대 온다" <2016.06.08>
[2016 미래에너지] "전기차·태양광 규제 완화하고 해외 진출 나서야" <2016.06.08>
[2016 미래에너지] "자원이 아닌 기술도 에너지 된다" <2016.06.08>
[2016 미래에너지] 조환익 사장 "한전이 탄소배출 감축 앞장서겠다" <2016.06.08>
[2016 미래에너지] 라지트 가드 UCLA 교수 "스마트 그리드, 중요한 전환점에 있어" <2016.06.08>
[2016 미래에너지] 김도원 BCG 서울사무소 대표 "지금 안하면 신재생에너지 주도권 못 잡아"<2016.06.08>
[기자수첩] '에너지 인터넷(IoE) 혁명' 속 승자는 누가 될까 <2016.06.08>
[반값 전기차 전쟁]⑬ 김상협 KAIST 교수 "현대차, 성공에 도취...한국 4차 산업혁명 낙오 위기"<2016.05.20>
[반값 전기차 전쟁]⑭ 일본 전기차 판매 한국 10배, 인프라는 8배<2016.05.24>
[반값 전기차 전쟁]⑮ "한국 전기자동차, 우리가 이끈다"... '대학생 창작자동차 대회'<2016.05.30>
[반값 전기차 전쟁]⑯ "아이오닉, 에너지효율 세계 최고, 도요타가 가장 강적"...이기상 현대차 전무
[반값 전기차 전쟁]⑰ "테슬라, 한국 배터리 시험중"...한·일 배터리 물밑 경쟁 '후끈'<2016. 06. 05>
[반값 전기차 전쟁]⑱ "친환경차 육성" 뒷북치는 한국 정부...말로만 시장 키우나? <2016.06.06>
'에너지혁명 2030' 토니 세바 "그린빅뱅 시대, 선점하는 자가 살아남는다" <2015.12.20>
삼성SDI 찾은 '에너지혁명 2030' 토니 세바 "언제 어디서나 에너지 이용 가능해진다" <2015.12.16>
[기자수첩] '2030년 그린빅뱅', 우리는 무엇을 준비하고 있나? <2015.12.21>
===============
■에너지 혁명 2030
- 석유와 자동차 시대의 종말 전혀 새로운 에너지가 온다
토니 세바 지음 | 박영숙 옮김 | 출판사 교보문고 | 2015.07.30
[책소개]
2030년, 석유 시대에서 태양광 시대로의 변화가 시작될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편리한 삶은 각종 기계와 화석연료로 만들어내는 풍부한 에너지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화석연료의 고갈이 눈앞에 다가오는 시점에서, 우리의 편리한 삶을 지탱해 줄 에너지에는 어떤 변화가 찾아올까? 『에너지 혁명 2030』은 스탠퍼드 대학교의 에너지 전문가 토니 세바가 앞으로 20년 동안 에너지와 교통산업의 발전을 예측한 내용을 담고 있다. 지금의 에너지 판도를 뒤엎을 강력한 대체에너지인 태양광을 중심으로 기술과 제품의 구조, 비즈니스모델의 변화를 살펴본다.
태양광은 지금도 독일과 호주 등에서 전력 수요의 상당량을 공급하며 차세대 에너지로 이미 자리 잡았다. 저자는 태양광패널의 기술이 발달해 지금보다 더 효율적으로 개선되고 가격도 저렴해지면, 태양광은 전 세계로 퍼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그리고 이러한 에너지의 변화와 기술의 발달은 단순히 전력산업만이 아니라 자동차산업도 뒤흔들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테슬라와 구글이 선보인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는 기존의 자동차산업을 붕괴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13일(현지시간) ‘세계개발자회의 2016’(WWDC 2016) 개막 (0) | 2016.06.14 |
---|---|
마이크로소프트(MS), 구직·구인 SNS ‘링크드인’ 31조원에 인수 (0) | 2016.06.14 |
예상보다 빨리 다가온 전기차 시대, 자동차산업 판도 확 바뀐다 (0) | 2016.06.13 |
[2016 미래에너지 포럼] 송의달 조선비즈 대표 "중장기적 클린 에너지 정책 수립해야" (0) | 2016.06.11 |
[2016 미래에너지 포럼] BCG "지금 안하면 신재생 에너지 주도권 못 잡아" (0) | 2016.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