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마저 중국에 밀리나
조선일보 2016.05.30(월) 최형석 기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5/29/2016052902180.html
중국계 은행 서울 지점의 30대 중국인 부장이 최근 국내 은행 차장급 직원을 만났다가 "몇 살이냐? 이렇게 어린데 어떻게 부장을 할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그는 "한국에서 4~5년간 근무하면서 나이 때문에 불쾌한 일을 당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며 "지나치게 엄격한 위계질서가 향후 한국의 성장을 가로막을 것이다"고 말했다.
<중략>
제조업에서 한국을 턱밑까지 추격한 중국이 금융에서도 위협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막대한 자본으로 해외 개발 및 인수·합병(M&A) 시장을 장악하고, 젊은 피를 앞세워 핀테크(Fintech)라는 '새 판'을 밀어붙이고 있다
젊은 CEO는 단적인 예일 뿐이다.
<중략>
핀테크에선 이미 중국이 한국을 몇 년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다. 올해 한국에서 뜨거운 관심을 모으는 로보어드바이저는 중국에선 이미 4년 전 증시에 상장됐다. 전자상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규모는 작년 8조위안(1427조원)에서 2018년엔 18조위안(3211조원)이 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IMD(국제경영개발원)가 평가한 금융 경쟁력 순위는 2000년 한국 29위, 중국 37위에서 2014년 한국 29위, 중국 27위로 역전됐다.
젊은 혈기가 만능 열쇠는 아니다. 우리나라 은행 CEO들을 40대로 교체하자는 얘기도 아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금융이 경직된 사고의 틀에서 벗어날 필요는 있다. 국책은행을 비롯한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도입이 추진되자 금융권 노조들은 파업을 불사하며 저항 중이다. 규제의 울타리 안에서 때가 되면 승진하고 연봉이 올라가던 시절을 떠나보내고 싶진 않을 것이다. 이제 그런 관성들과 이별해야 한다.
중국인들은 "이젠 삼성·LG 휴대폰보다 화웨이·샤오미 제품이 더 낫다"는 말을 서슴지 않는다. 고정관념을 깨는 금융 개혁에 미적거릴수록 한국 금융이 그러한 저평가를 받는 시기만 앞당길 뿐이다.
▶[키워드 정보] 핀테크(FinTech)란 무엇인가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결제, 송금, 예금·대출, 자산 관리 등 금융 서비스를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통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새로운 흐름을 뜻한다. 전 세계 정보통신기술(IT) 기업과 신생 금융회사들이 핀테크를 활용해 기존 금융계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
[관련 도서]
■오가닉 미디어
-연결이 지배하는 미디어 세상
윤지영 지음 | 출판사 21세기북스 | 2014.02.21
http://blog.daum.net/bstaebst/11803
[책소개]
미디어가 사회, 경제, 문화의 경계를 허문다!
『오가닉 미디어』는 관계에 의해 만들어진 미디어, 살아서 진화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이야기다. 이 책에서 말하는 '오가닉 미디어(organic media)'란,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자 네트워크다. 사람들의 참여로 시작해서 그 결과 사용자 간의 관계를 얻는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가 성장하는 모델이라는 점이 핵심이다.
이 책은 미디어를 해부하고 사용자를 들여다보고 매개와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틀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미디어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고 사고를 전환시킨다. 즉, 오가닉 미디어에서 콘텐츠는 성장하고, 성장은 사용자의 매개 행위가 만든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매개 행위는 미디어 질서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낸다고 말한다.
■오가닉 비즈니스
노상규 지음 | 오가닉미디어랩 펴냄 | 2016.02.21 출간
http://blog.daum.net/bstaebst/17016
[책소개]
『오가닉 비즈니스』는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의 비즈니스 본질에 대해 살펴본다. 오가닉 비즈니스는 살아 있는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비즈니스에 접근한다. 즉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우버 등이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가치를 만들며, 어떻게 돈을 버는지 그 원리와 구조를 오가닉 비즈니스 관점에서 분석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서비스 뒤흔들 인공지능(AI) 메신저 '챗봇(Chatbot)’의 등장 (0) | 2016.05.31 |
---|---|
카카오, 대리운전 서비스 '카카오 드라이버'....오늘(31일)부터 시작 (0) | 2016.05.31 |
[빅데이터 시대] 코앞에 닥쳐온 제4차 산업혁명 쓰나미 (0) | 2016.05.27 |
MS·페이스북, 공동으로 대서양에 초고속 해저 케이블 '마레아' 설치 (0) | 2016.05.27 |
'자바 수렁' 벗어난 구글…미국 저작권법 107조 '공정이용' (0) | 2016.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