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G7 및 전 세계가 탈제조업으로 가는데…한국은 다시 제조업에 올인

배셰태 2016. 5. 29. 23:37

G7, 탈제조업으로 가는데…한국은 다시 제조업으로

매일경제 2016.05.29(일) 이상덕 기자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384773


총부가가치 중 제조업 비중 韓 70년 17.5%→14년 30.3%
현대硏 “中추격등으로 탈공업화 불가피…대비책 마련을”


선진 7개국인 G7은 제조업 비중이 낮아지고 있는데 반해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G7 국가와 한국의 산업구조 변화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총 부가가치 가운데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1970년 17.5%에서 2014년 30.3%로 급증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전 세계는 25.7%에서 16.5%로 줄었다. G7 국가들도 비슷한 패턴이었다.

한국의 산업 구조를 살펴보면 제조업에서 주력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늘어나고 있다. 주력 제조업이란 제조업 생산 중 해당 업종 비중이 1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가리킨다.


<중략>

현대연은 향후 한국도 선진국과 같이 탈공업화 추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미리 강구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등 신흥국이 급격히 추격하는 상황에 대응하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면서 “이와 더불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지식서비스 산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추천도서]

■오가닉 미디어

-연결이 지배하는 미디어 세상

윤지영 지음 | 출판사 21세기북스 | 2014.02.21

 http://blog.daum.net/bstaebst/11803

 

[책소개]

 

미디어가 사회, 경제, 문화의 경계를 허문다!

『오가닉 미디어』는 관계에 의해 만들어진 미디어, 살아서 진화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이야기다. 이 책에서 말하는 '오가닉 미디어(organic media)'란,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자 네트워크다. 사람들의 참여로 시작해서 그 결과 사용자 간의 관계를 얻는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가 성장하는 모델이라는 점이 핵심이다.

이 책은 미디어를 해부하고 사용자를 들여다보고 매개와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틀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미디어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고 사고를 전환시킨다. 즉, 오가닉 미디어에서 콘텐츠는 성장하고, 성장은 사용자의 매개 행위가 만든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매개 행위는 미디어 질서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낸다고 말한다.


오가닉 비즈니스

노상규 지음 | 오가닉미디어랩 펴냄 | 2016.02.21 출간

http://blog.daum.net/bstaebst/17016

 

[책소개]

 

『오가닉 비즈니스』는 연결이 지배하는 세상의 비즈니스 본질에 대해 살펴본다. 오가닉 비즈니스는 살아 있는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비즈니스에 접근한다. 즉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우버 등이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가치를 만들며, 어떻게 돈을 버는지 그 원리와 구조를 오가닉 비즈니스 관점에서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