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핀테크·IOT 등 '금융의 지능화' 시대...제4차 산업혁명, 은행권 뒤흔든다

배셰태 2016. 5. 17. 18:05

4차 산업혁명, 은행권 뒤흔든다

메트로뉴스 2016.05.17(화) 채신화 기자

http://m.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6051600069

 

핀테크·사물인터넷(IOT)·로보어드바이저 등 '금융의 지능화' 시대…"활성화 위해 금융규제 변화해야"

 

4차 산업혁명(정보기술·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분야 육성)이 금융 시장도 바꿔놓고 있다. 이젠 로봇이 추천하는 금융 상품을 선택하고, 공인인증서 대신 지문인증으로 금융 거래를 하는 시대다. 금융 환경이 한층 진화하면서 각종 신기술은 범람했으나, 점포와 인력은 줄었다. 4차 산업혁명이 금융권을 세차게 뒤흔드는 모양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금융사 직원 수는 37만3580명으로 전년 대비 1822명 줄었다. 점포 수도 1년 만에 165곳이나 자취를 감췄다. 4차 산업혁명으로 불어온 '핀테크 바람'에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이, 사람보다 사물인터넷(IoT)이 강세를 보인 것이다.

 

금융과 기술의 접목인 '핀테크'의 혁신은 금융 시장에 새로운 국면을 가져왔다. 지능화된 금융 서비스 뿐만 아니라 지급결제에서 시작해 자산관리, 신용평가, IoT 등 타 산업과의 융합을 가속화했다.

 

특히 비대면 거래는 올 초부터 금융권의 최대 화두다. 지난해 말 금융위원회가 금융개혁의 일환으로 '금융실명제' 도입 22년 만에 비대면 실명확인을 허용하면서 금융환경은 급변하기 시작했다. 은행 방문 없이도 할 수 있는 금융 거래가 우후죽순 늘면서 보안성과 편의성을 접목한 핀테크 기술이 은행의 변신을 이끌어냈다.

 

<중략>

 

지난 12일 국가미래연구원이 주최한 '4차 산업혁명과 금융규제 개혁 방안' 세미나에서 하나금융경연구소 정중호 연구분석실장은 "핀테크 활성화를 위해선 규제 균형의 발전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더 유연한 정책으로 다양한 시도를 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