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 우리 교육은 어떻게 변해야 하나?
이데일리 2016.04.23(토) 김유성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oid=018&aid=0003527608&sid1=105&mode=LSD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E31&newsid=01348086612619072&DCD=A00503&OutLnkChk=Y
지난달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와 이세돌 九단과의 바둑 대결은 우리 사회에 적지 않은 충격을 줬다. 인간 고유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직관마저 전문화된 인공지능에 밀릴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미래 사회 일자리에 대한 걱정이 일었다. 단순 육체 노동에서 정신 노동까지 ‘기계’가 인간의 모든 일을 대체할 수 있다는 불안감마저 제기됐다.
<중략>
22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정보통신의 날 부대 행사로 열린 토론회에서 김화종 강원대 교수는 “앞으로 많은 직업을 인공지능이 대체할 것”이라며 “먼저 교육부터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교육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눠봐야 할 것”이라며 “하나는 (인공지능의 기반이 되는) 컴퓨터·로보틱스 등 전문가 영역, 다른 하나는 비전문가 영역으로 인공지능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을 직접 연구하고 운영하는 엔지니어 영역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영역을 고려해야한다는 뜻이다.
그는 “인공지능 덕분에 우리 교육은 보다 본질적으로 갈 것”이라며 “인공지능은 우리의 일자리를 빼앗기보다는 돕는다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중략>
한편 김 교수는 인공지능의 발달 목표를 전문화된 인공지능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했다. 알파고처럼 특정 분야에 전문화된 인공지능이다. 이를 두고 김 교수는 ‘약한 인공지능’ 이라고 지칭했다. 반대 개념이 ‘강한 인공지능’이다. 범용적으로 쓰이는 인공지능이다.
그는 “지금부터라도 약한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에 폭넓은 지원을 해야 한다”며 “학습하는 로봇을 만드는 데 정부에서 생태계를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경제학의 탄생] 우리는 왜 설현의 손짓과 송중기의 눈빛에 무너지나 (0) | 2016.04.23 |
---|---|
[제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AI)이 곧 없앨 직업…의사, 예술인도 ‘고위험군’ (0) | 2016.04.23 |
[풍요의 시대]`기본소득`이 북유럽과 중동지역에서 시작이 된다 (0) | 2016.04.20 |
구글, 11년 동안 끌어온 ‘구글북스’ 저작권 소송에서 최종 승리 (0) | 2016.04.19 |
구글, '구글북스' 공방 최종 승리...미국 연방대법원, 작가협회 항고 심리 기각 (0) | 2016.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