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일본 거리엔 테슬라 전기차 택시 운행 중…그 뒤에는 3만 4000개 충전소

배셰태 2016. 4. 20. 10:52

[이슈 클릭] 일본 거리엔 테슬라 택시…그 뒤에는 3만4000개 충전소

중앙일보 2016.04.20(수) 김민관 기자

http://news.joins.com/article/19912371


기사 이미지
지난 9일 도쿄 아오야마에 위치한 아시아 1호 테슬라 매장

직접 가본 일본 테슬라 매장


유지 비용 없어 택시회사 자발적 선택
충전도 편리, 모델S 1시간 충전 400㎞
한국은 정식 수입 안 돼 보조금 불투명


‘아이폰 쇼크’. 휴대전화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꿔버린 아이폰의 등장을 사람들은 이렇게 불렀다. 이제 사람들은 ‘테슬라 쇼크’를 이야기하고 있다. 테슬라가 그려낼 새로운 미래를 예측해보기 위해 도쿄로 향했다. 아오야마(靑山) 테슬라 매장에는 사람들이 북적였고 도쿄 거리에는 ‘테슬라 택시’가 운행 중이었다. 

<중략>

서울에서도 테슬라 쇼룸을 볼 수 있는 날이 올까. 지난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4000만원대의 보급형 전기차인 모델3를 한국에서도 주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발표 직후 이찬진 전 드림위즈 대표 등 몇몇 유명인이 SNS에 “테슬라 구매 예약”을 인증하고, ‘전기차 보조금 1200만원을 받으면 2000만원대에 테슬라를 살 수 있다’는 소문까지 퍼지면서 테슬라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국의 열악한 전기차 인프라와 정부의 미미한 지원을 고려할 때 테슬라에 대한 관심이 구매로까지 연결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고 분석한다.

<중략>

환경부는 지난 2월 “2020년까지 현재 5700여 대 가량 보급된 전기차를 20만 대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전기차 충전소는 일본의 100분의 1 수준인 337개에 불과하다. 전기차를 구매하더라도 충전할 장소가 마땅치 않아 운행에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최대 400만원의 세금감면, 서울시 공영주차장 이용 시 주차료 반값 할인 등의 혜택이 있지만 구매 욕구를 불러올 만큼 매력적인 인센티브는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대림대 자동차학과 김필수 교수는 “정부가 7년 전부터 전기차를 활성화하겠다고 했지만 각종 인프라나 지원 제도 등을 살펴보면 일본이나 중국보다 무척 뒤떨어져 있다”며 “전기차 충전소를 대폭 확대하고 일본처럼 통행료 면제 제도를 도입하거나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이용 등의 적극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략>

아울러 정부는 올 한 해 전기차 보조금 지급 등을 위해 1485억원의 예산을 책정했지만 테슬라 ‘모델3’는 구매하더라도 보조금을 한 푼도 지급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교통환경과 관계자는 “테슬라 구매는 정식 판매처를 통한 구매가 아닌 개별적 구매 행위이며 테슬라가 한국법인을 설립하기는 했지만 정부에 정식 등록절차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보조금을 지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테슬라가 당장이라도 제대로 된 법인을 만들고 한국의 수입절차를 지킨다면 보조금 지급을 검토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교수는 “전기차를 시민들이 어떻게 구입했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시민들이 전기차를 이용하게 만들지 고민해야 한다”며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테슬라 전기차를 불필요한 규제와 규정 때문에 제약한다는 건 시대에 뒤떨어지는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