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음마 韓 인공지능 산업, 이러다 해외업체에 내줘"
이데일리 2016.03.06(일) 김유성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8&aid=0003492930
인공지능(AI)이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AI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의 준비가 부족해 신속한 대응이 없으면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구글과 애플은 물론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까지 AI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지만,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국내 선두권 업체는 물론 대기업들도 AI 분야에서는 그럴 듯한 성과가 없다. AI 분야에 있어 국내 스타트업 활동도 부족한 실정이다.
제2차 정보화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제4차 산업기에 들어서면 국내 인터넷 기업은 물론 자동차·금융 서비스 기업들도 고전한다는 예상이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5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AI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로봇, 무인자동차, 가상 비서 서비스가 실제 생활에 도래하지만 국내 기업들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빅데이터나 IoT 분야에 있어서는 이동통신사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과 투자가 활발하지만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에 기반한 AI 분야는 막 연구를 시작한 단계다.
스타트업도 마찬가지다. 미국에서는 실리콘밸리 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지만, 국내 스타트업중 머신러닝 기술을 적극적으로 내세운 기업은 거의 없다. 정부가 뒤늦게 이와 관련된 기술연구소 설립을 추진중이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인공지능(AI)란 인간과 비슷하게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다. 출처:http://www.valuewalk.com
최양희 미래부 장관도 지난달 18일 이데일리 주최 ‘퓨처스포럼’에서 “지능 정보 기술의 바탕이 되는 학문이 수학과 뇌과학인데 한국이 이 분야에서는 약하다”며 “이 부분에 대한 투자도 적극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갈수록 구글과 애플 등 AI 분야 선두권 업체들과 우리 기업들과의 격차가 커진다는 점이다. 특히 세계 최대 검색엔진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한 구글과의 차이가 크다. 구글과 애플은 음성인식 기술에 기반한 지능형 로봇, 가상 비서 서비스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한다.
이 같은 AI 기반 서비스가 확산하면 기존 산업 체계가 바뀌고 상당수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지능정보기술 진흥 부서를 맡는 미래부 관계자 예측이다.
<중략>
미래부 김광수 정보통신정책과장은 “한국 시장만큼은 한글과 한국어라는 장벽이 있어 해외 업체들이 아직 적응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이들이 국내 산업 생태계에 영향을 주기까지는 사실상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이 한국 업체들이 따라잡을 기회”라며 “늦었지만 민·관이 힘을 보태 격차를 줄여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적인 핀테크 열풍] 금융도 생태계 경쟁…판 만들고 주도해야 살아남는다 (0) | 2016.03.07 |
---|---|
[제4차 산업혁명] 한국, AI 분야 취약...미래부, 4월에 종합 활성화 대책 발표 (0) | 2016.03.06 |
[제4차 산업혁명] 전세계 주요 기업, 인공지능 패권 각축…한국, 걸음마 수준 (0) | 2016.03.06 |
카카오, 'O2O 질주'...이번엔 미용실, 다음달 초에 시범 서비스 시작 (0) | 2016.03.04 |
[이세돌·알파고 대결] 변곡점에 온 인공지능(AI)...판단은 수준급, 인지는 초보 (0) | 2016.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