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플랫폼이 산업권력]구글·애플에 뺏긴 앱스토어 되찾자

배셰태 2016. 3. 1. 10:41

[플랫폼이 산업권력이다⑤]구글·애플에 뺏긴 앱스토어 되찾자..'원스토어'의 위대한 실험

이데일리 2016.02.29(월) 김현아 기자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E41&newsid=01193926612555440&DCD=A00504&OutLnkChk=Y


높은 수수료, 늦은 대응..앱 생태계 관문국 되찾자
3월 2일 원스토어(주) 출범..네이버도 지분 투자


국내 기업들이 구글과 애플에 뺏긴 앱스토어 시장을 되찾기 위해 뭉쳤다. 지난해 6월 이동통신3사가 T스토어, 올레마켓, U+스토어를 통합한 데 이어, 3월 2일 네이버의 앱마켓까지 통합해 원스토어(주)로 출범한다. 원스토어(주)는 SK텔레콤 자회사로 출범하나 네이버도 일부 지분을 투자한다.


그간 ‘원스토어’는 통신3사의 앱스토어 한 곳에만 앱을 올려도 3사 모두에 등록되는 인프라 개념이었는데, 이번에 별도 회사로 설립돼 구글·애플에 내어준 30% 수수료 시장을 한국 회사들이 되찾아올 수 있을지 관심이다.


개발자들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올리고 소비자가 다운받는 앱스토어는 스마트폰 앱 생태계의 기반 플랫폼이다. 하지만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4년 현재 국내 시장의 83%를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가 차지하고 있다. 올해 지난해보다 18.7% 증가한 252억 달러(30조 303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전세계 앱스토어 시장에서 대한민국의 모습을 찾기는 어렵다. 


 


◇높은 수수료, 늦은 대응…앱 생태계 관문국 되찾자


구글과 애플이 전세계 앱스토어 시장을 석권하는 이유는 운영체제(OS) 독점과 글로벌 마케팅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안드로이드 폰에는 구글 플레이 앱이 iOS폰에는 애플 앱스토어 앱이 기본 탑재돼 있다. 개발사로선 전 세계인이 몰리는 구글·애플의 장터에 물건을 내다 파는 게 끌린다.


하지만 구글에서 국내 개발사가 1000원 짜리 앱을 판다면 300원은 구글 매출이다. ‘카카오 게임하기’에 입점하는 개발사는 1000원짜리 앱을 파는데 구글에 300원(30% 수수료), 카카오에 210원(21% 수수료)을 내야 했다. 배보다 배꼽이 컸다.


<중략>


 

▲전세계 앱스토어 시장 규모(단위 십억 달러) 출처: Trefis, Credit Suisse 


[관련 기사] 
- [플랫폼이 산업권력이다①]"플랫폼·콘텐츠 장악이 곧 산업 제패"
- [플랫폼이 산업권력이다④]카카오는 ‘국내’ 네이버는 ‘해외’…플랫폼 전략 잰걸음
- [플랫폼이 산업권력이다②]대세가 된 모바일 플랫폼 비즈니스
- [플랫폼이 산업권력이다]구글·애플에 뺏긴 앱스토어 되찾자..'원스토어'의 위대한 실험
- [플랫폼이 산업권력이다③]“구글·페북이 어떻게 하는지 보자”
- [플랫폼이 산업권력이다]비디오 플랫폼이 '네트워크 효과'되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