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빚공화국 대한민국] 기업부채 2347조원' 경제뇌관'으로…신흥국 평균 두배

배셰태 2016. 2. 27. 11:59

[빚공화국 대한민국]기업빚 2347조 '경제뇌관'으로…신흥국 평균 두배

아시아경제 2016.02.27(토) 조슬기나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1&oid=277&aid=0003696296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22610595968228

 

사상 최대인 가계대출에 가려져있지만 사실 한국경제의 뇌관은 기업대출로 평가된다. 단위 당 부채규모가 작은 가계부채와 달리, 기업부채는 최근 저성장 기조, 수출 부진 등과 맞물려 한계기업의 줄도산과 경제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중국, 인도,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국 평균의 두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26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의 총부채(은행 대출+비은행 대출+회사채+기타 채무 등)는 2015년 1분기 말 기준으로 2347조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103조원 늘었다. 이는 2014년 1분기 증가액(55조원)의 두배에 달한다.

 

<중략>

 

30대 기업 등 주요 기업들의 부채도 급격히 늘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받아 공개한 ‘최근 5년간 주요 30대 기업 부채액’ 에 따르면 30대 그룹 소속 1037개 기업의 부채 총액은 2014년 말 기준 약 1740조 원으로 1년 만에 139조원(8.0%)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계부채(66조원·6.5%), 공공부문 부채(47조원·4.3%)보다 훨씬 가파른 증가세다.

 

이에 반해 기업대출 연체율은 금융위기 후 줄곧 올라가는 추세다.

 

<중략>

 

전문가들은 16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보다 기업부채에 대한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가계부채의 경우 자산이 부채보다 많지 않고 단위 규모가 크지 않아 현실적으로 경제위기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평가다. 반면 기업부채는 최근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더불어 경제에 미칠 파급력이 더 큰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더욱이 기업부채가 늘어나며 기업 재무구조의 불안정성은 커지고, 구조조정을 못한 한계기업은 늘어나는 추세다. 향후 금리인상 압력은 이자부담과 디폴트 위험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중국, 인도, 브라질, 러시아, 멕시코 등 신흥국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기업부채 비율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우리나라 기업의 부채상환능력이 다른 나라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금융시장 불안으로 만기 연장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면 유동성 위기에 빠지는 기업이 많아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원리금 상환능력이 낮은 것은 영업활동의 현금흐름 창출 능력이 낮은 데다 단기차입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2014년 기준 우리나라 기업의 전체 차입금 중에서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글로벌 평균 26.0%보다 훨씬 높은 42.6%에 달한다.

 

우리나라 비금융 상장기업 가운데 2014년 기준 이자보상배율 1 이하인 부채상환능력 취약 기업 비중은 33.6%였다.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금융시장 불안으로 신용경색이 발생해 만기 연장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면 유동성 위기에 빠지는 기업이 많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