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공유경제ㆍO2O 서비스 확산...중국 경제 먹여살린다

배세태 2015. 12. 30. 08:28

[글로벌아이]온라인 서비스, 中 경제 먹여살린다

아시아경제 2015.12.29(화) 이진수 기자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122914503366850

 

우버, 디디콰이디 등 O2O 서비스 성장에 민간부문 노동력 급증

 

중국에서 온라인 서비스가 인민들의 소득ㆍ소비ㆍ고용 증대에 크게 한 몫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 정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 부문의 노동력이 전년보다 3000만명 급증했다. 이는 중국이 생산 주도에서 서비스ㆍ소비 주도의 성장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고 있다. 활기 잃은 수출과 중공업, 2000년 이래 가장 낮아진 투자 성장률에서 비롯된 고통도 다소 누그러뜨려주고 있다.

호주 시드니공과대학 호주중국관계연구소의 제임스 로렌스슨 부소장은 최근 블룸버그통신과 가진 회견에서 "10년 뒤 인터넷ㆍ공유경제 확산이 중국 경제의 전환점이었음을 알게 될 것"이라며 "인터넷과 공유경제가 고정자산 투자보다 소비를 더 부추기고 건설ㆍ산업생산보다 서비스업을 더 활성화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에어비앤비ㆍ위챗 같은 '개인 대 개인(P2P)' 플랫폼에 기반한 공유경제의 성장이 중국 경제에서 좀더 광범위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가, 이런 플랫폼이 현재 국가 독점체제 아래 놓인 금융ㆍ통신 등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더 강화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현재 중국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을 이어주는 이른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다. 그러나 우버ㆍ디디콰이디(滴滴快的) 같은 업체들은 이미 O2O 서비스로 중국의 택시산업에 격변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중국판 에어비앤비인 '투자(途家)'를 통해 여행산업 활성화로 이어지기도 한다.

 

홍콩 주재 매쿼리증권의 후웨이쥔(胡偉俊) 중국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O2O 서비스가 중국 경제에 이미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며 "중국의 전반적인 경제상황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실업률이 그런대로 괜찮은데다 임금이 오르는 것은 서비스 부문 덕"이라고 지적했다.

O2O 서비스는 택배ㆍ배달 같은 부문에서 많은 인력을 고용할 수 있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