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로펌에서 왜 공유경제를 열공할까
서울경제 2015.11.26(목) 안미현 경제부장
http://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1127030001&cp=seoul
공유경제에 호기심이 생긴 것은 식사 자리에서였다. 로펌에 있는 전직 관료가 요즘 공유경제를 ‘열공’하고 있다고 했다. 아니, 로펌이 왜 공유경제를? ‘무식한’ 의문이 풀리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중략>
굳이 내 것으로 소유하려 들지 말고 남의 것을 빌려 쓰자는 공유경제다. 거꾸로 내게 필요하지 않은 것은 남에게 빌려주자는 공식도 성립된다. 차를 공유하는 집카(Zipcar)나 우버(Uber)도 있다. 멀리 눈 돌릴 것 없이 우리나라의 ‘카풀’도 공유경제 형태다. 미국 타임지는 2011년 ‘세상을 바꿀 아이디어’로 공유경제를 지목하기도 했다.
그런데 사유를 전제로 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유를 들고나왔으니 갈등이 없을 리 없다.
<중략>
잣대도 문제다. 새롭되 비슷하다는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기존 법규와 잣대를 적용하고 있다.
<중략>
뒤늦게나마 정부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얼마 전 세미나에서 “공유경제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제도권 안으로 흡수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맞춤형 잣대가 생기면 공유경제 영역이 다채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공유경제 바람을 경계하는 시각도 있다. 참신하기는 하지만 대안까지는 안 된다는 논거다. 그렇더라도 공유경제는 분명 생각해 볼 모델이다. BMW는 비싼 돈 주고 자기네 차를 사기 부담스러우면 차를 쓴 만큼만 돈을 내라며 ‘드라이브 나우’(Drive Now)라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미 시장의 기득권자들도 공유경제와 싸우기보다는 공존하는 방안을 찾는 쪽으로 기우는 모양새다.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은 “당분간은 공유경제가 기존 가치와 충돌하겠지만 새 규범을 이루며 공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머리는 빌리면 된다”던 거산(김영삼 전 대통령)도, “해 봤냐”고 몰아붙이던 아산(정주영 현대 창업주)도 없는 아침에 이런저런 생각의 끝자락이 공유경제에 가 닿는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낸시 님탄 “사회적 경제는 좌우이념 떠나 상식 근거한 경제활동이죠” (0) | 2015.11.29 |
---|---|
공유경제 기업 `우버`와 전기차 기업 `테슬라`는 파괴적 혁신일까 아닐까? (0) | 2015.11.28 |
공유경제, 그 핵폭탄급 잠재력 - 이근춘 부산공유경제연구소 대표 (0) | 2015.11.27 |
공유경제의 부상...사회적 경제적 효과와 당면 과제 (0) | 2015.11.27 |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온디맨드 경제 서비스 기업'의 필요한 6가지 조건 (0) | 2015.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