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폰, 무시하지 못할 존재감
경향신문 2015.11.14(토) 전병역 기자
http://m.media.daum.net/m/media/digital/newsview/20151114140607741
http://bizn.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511141405261&code=920100&med=khan
‘중국의 삼성’ 화웨이, ‘중국의 애플’ 샤오미 급성장 경쟁력 위협적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스마트폰 기기 제작기술은 세계적 수준에 올라섰다. 반도체 칩, 디스플레이 같은 핵심 부품도 국산이 수준급이다. 그럼에도 최근 위기설에 시달리는 배경에는 추격해온 중국 업체가 있다. 2009년에는 적어도 앞선 애플만 따라잡으면 된다는 단순한 목표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뒤통수를 더 조심해야 할 형편이다.
대표적인 기업인 화웨이는 하드웨어 기술력을 앞세우기 때문에 ‘중국의 삼성’, 소프트웨어를 강조하는 샤오미는 ‘중국의 애플’로 불린다. 사실 삼성, LG가 경계하는 중국 기업은 샤오미가 아니라 화웨이다. 디스플레이는 물론 두뇌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칩까지 만드는 능력을 가져 삼성전자와 유사한 사업 형태를 갖췄다.
화웨이는 올해 3분기에 레노버까지 누르고 세계 3위 업체로 올라섰다. 샤오미가 중국 시장 안에 머무르는 데 비해 세계 3위권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는 세계 통신사들을 통해 스마트폰 판매까지 연결시키는 위협적인 존재로 컸다.
화웨이는 삼성, LG처럼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만든다. 스마트폰의 핵심인 운영체제에서 차이가 없어 언제든 국내 업체가 따라잡힐 위험이 있다. 국내에도 들어온 화웨이 ‘X3’는 8개의 프로세서(옥타코어)를 넣은 자체 AP로 여느 고급폰 수준의 속도를 자랑한다. 또 후면 1300만 화소 카메라, 풀HD 디스플레이인데도 출고가가 33만원까지 떨어져 국내 브랜드(80만원 안팎)보다 가격 경쟁력은 앞선다. 소비자들은 “과거 짝퉁 이미지를 넘어 중국 스마트폰의 재발견”이라며 놀란 반응을 보였다.
샤오미 미4
샤오미, 제품군 늘리며 사물인터넷 포석혜성처럼 등장한 샤오미는 애플 따라쟁이(카피캣) 이미지가 강하다. 겉모습만 아니라 사업방식까지 애플을 따른다. 샤오미는 자체 운영체제인 미(MI)UI를 적용하고 정보기술(IT) 생태계를 구축하려 한다. 마치 애플이 iOS, 앱스토어를 앞세워 자신만의 제국을 형성한 것과 비슷하다. 자신들은 설계하고 폰 제작은 애플처럼 대만 기업 폭스콘에 맡긴다.
<중략>
샤오미가 가전·생활용품 등 다방면에서 제품군을 늘리며 사물인터넷(IoT) 사업을 준비한다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당장 수익을 남기기보다 일단 샤오미 제품을 시장에 최대한 깔겠다는 계산일 수 있다. 앞서 레이쥔 회장도 “스마트폰은 샤오미의 주력 제품이 아니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화웨이와 샤오미가 앞으로도 승승장구할지는 불확실하다. 단 세계 최대인 중국 내수시장은 언제든 비슷한 잠룡을 낳을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전자업체 관계자는 “샤오미는 모든 사물을 연결시키는 원대한 전략을 펴는 것 같은데 아직은 과장된 측면도 있다”며 “만약 ‘대륙의 실수’로 샤오미가 실패하더라도 제2, 제3의 샤오미가 줄줄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이 무서운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젠, 'SNS가 미디어'이다...갈수록 강해지는 페이스북의 미디어 파워 (0) | 2015.11.15 |
---|---|
[테슬라 전기차] 테슬라는 자동차 회사가 아니라 SW 회사다 (0) | 2015.11.15 |
애플, 개인간(P2P) 모바일 결제서비스 시장 진출...'애플페이'에 기능 추가 (0) | 2015.11.15 |
[사물인터넷 시대] 일본 총무성...이동통신사에 2017년부터 IPv6 대응 요구 (0) | 2015.11.14 |
옴니채널의 모범...아마존의 첫 오프라인 서점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0) | 201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