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과의 섹스 논란…"인간존엄 상실" vs "외로움 달래준다"
연합뉴스 2015.11.05(목) 김경윤 기자
사람과 닮은 로봇이 속속 등장하면서 로봇과 교감하며 사랑을 느끼고 성관계까지 갖는 것이 허용돼야 하는가에 대한 찬반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캐슬린 리처드슨 몽포르대 로봇윤리학 연구원은 4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웹 서밋에서 "로봇과의 성관계는 우리가 걱정해야 할 일"이라며 섹스 로봇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미국 CNBC 방송이 보도했다.
<중략>
사물인터넷(IoT) 회사 그린웨이브 시스템의 수석 과학자 짐 헌터도 로봇과의 섹스는 SF 소설작가 아이작 아시모프가 제창한 '로봇 3원칙'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중략>
하지만 로봇과의 성관계가 규제 대상이 아니라는 반대 의견도 나온다. 넬 왓슨 싱귤래러티대 미래학자는 섹스 로봇이 매춘이라기보다는 인간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왓슨은 "우리 시대의 가장 치명적인 질병은 외로움"이라며 "기계가 우리 안의 상처와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에서는 '록시'(Roxxxy)라는 이름의 섹스 로봇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를 금지하자는 운동이 영국에서 벌어지기도 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시대, 새로운 권력 출현...`미래 권력`, 네트워크를 많이 가진 개인이다 (0) | 2015.11.06 |
---|---|
메신저 사업의 킬러서비스 '감성콘텐츠'...`감성코드`로 소통하는 사회 (0) | 2015.11.06 |
2015년 IT업계 고용시장, ‘빅데이터’ 지고 ‘인공지능’ 떴다 (0) | 2015.11.05 |
피터 다이아맨디스가 ‘인접 산업 파괴자’에 대하여 말한 내용 (0) | 2015.11.05 |
조지 입 중국혁신센터 소장 "혁신은 '생각' 아닌 '행동'에서 나온다" (0) | 201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