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재포럼 2015] "로봇이 노동하는 시대…SW 안 배워도 되는 산업은 없다"
한국경제 2015.10.25(일) 강진규 기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2572511&intype=1
“과거에 트럭 운전사나 요리사는 소프트웨어를 배울 필요가 없다고 이야기했죠. 하지만 지금은 트럭이 운전사 없이 주행하고 로봇이 패스트푸드를 만드는 시대가 됐습니다. 소프트웨어를 안 배워도 되는 산업은 하나도 없습니다.”
제임스 거츠먼 플레이팹 대표(사진)는 2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21세기의 모든 학생은 광합성과 신진대사 작용에 대해 배우듯 소프트웨어를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거츠먼 대표는 15년간 게임업계에서 일해온 컴퓨터공학 전문가다. 게임 제작사인 이스케이프 팩토리와 스프라우트 게임즈 등을 창업했고, 2005년부터 8년간 ‘식물 vs 좀비’라는 모바일 게임을 개발한 팝캡에서 아시아 담당 임원으로 일했다.
<중략>
거츠먼 대표가 지난해 창업한 플레이팹은 게임 퍼블리싱(유통·운영) 회사다. 서버 관리 기술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의 연동 방법 등을 표준화해 게임 개발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거츠먼 대표가 플레이팹을 창업한 것은 게임이 SNS와 결합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윷놀이, 체스 등 과거 모든 놀이는 상호작용이라는 SNS의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며 “모바일 및 컴퓨터 게임도 이 같은 요소를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거츠먼 대표는 모바일 기반의 캐주얼 게임인 애니팡이 한국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것을 사례로 들었다. “애니팡의 기본 요소는 과거 팝캡에서 개발한 ‘비주얼드’와 비슷하지만 카카오톡과 결합해 원조보다 더 유명한 게임이 됐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거츠먼 대표는 진로를 고민하는 10대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가질 것을 강조했다. 그는 “컴퓨터의 발달로 단순 반복 업무는 대부분 로봇이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문제를 찾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기업가 정신을 가져야 미래 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경제학상 저작 <위대한 탈출>까지 날조하는 한국의 성장주의자들 (0) | 2015.10.27 |
---|---|
취업포털 사람인, N포세대 설문조사...20~30대 56.8%가 결혼 포기 (0) | 2015.10.26 |
10년 후에는 가상결혼•섹스나 로봇과의 결혼•성관계도 일반화 된다 (0) | 2015.10.24 |
[헬조선] 2030세대 "나아진다는 희망 없다 '탈한국'이 답이다" (0) | 2015.10.24 |
[제16회 세계지식포럼] 공유경제/공유·협업의 디지털 시대 등 '10대 메시지' (0) | 201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