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한국 먹여 살렸던 전자·자동차·조선산업...1~5년 이내 대부분 `경쟁력 상실`

배셰태 2015. 10. 5. 06:29

"한국 먹여 살렸던 전자·자동차·조선 10년내 경쟁력 상실"

한국경제 2015.10.04(일) 박준동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1&oid=015&aid=0003444036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0481471

 

이대론 대한민국 미래없다…식어가는 성장엔진

 

전문가 93% "IoT·로봇 등 신산업 성장에 20년 소요"

33% "정부, 의료·관광산업 지원은 안하고 간섭만…"

 

 

국내 산업의 미래에 대한 경제 전문가들의 우려 수준은 일반인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제 전문가들은 앞으로 한국 경제를 이끌어갈 주요 축 중 하나인 서비스산업이 정부의 간섭과 규제 등에 따라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한국경제신문이 일반 국민 1000명과 경제전문가 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산업분야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다.

 

경제·경영학과 교수, 경제연구소 연구원, 대·중소기업 임원 등 경제 전문가의 90.8%는 반도체 전자 자동차 조선 철강 등 한국 주력산업의 국제경쟁력이 10년도 채 유지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력산업의 국제경쟁력 유지 기간에 대해 ‘1년 이내’란 답이 0.8%, ‘1년 초과 5년 이내’가 42.5%, ‘5년 초과 10년 이내’가 47.5%였다. ‘10년 초과 20년 이내’라는 답은 8.0%에 그쳤다.

 

경제 전문가들은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의 주된 원인으로 ‘핵심 원천 기술 확보 미흡’(32.3%)을 첫손가락에 꼽았다. ‘중국의 급성장’(22.8%) ‘제품의 고도화 수준 미약’(15.5%) ‘인건비 상승, 엔저(低) 등 가격 경쟁력 약화’(15.3%) ‘대립적인 노사관계’(7.5%) 등이 뒤를 이었다.

 

경제 전문가의 절반(47.8%)은 바이오 사물인터넷(IoT) 로봇 우주항공 의료 등 신성장 산업이 한국의 주력산업으로 성장하는 데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1년 이내’라고 답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경제 전문가 대부분은 주력산업이 10년 내 국제 경쟁력을 잃을 것으로 관측했다. 이대로 가다간 우리 산업 전체가 글로벌 시장에서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