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무인자동차의 시대가 성큼성큼 다가온다...택시기사는 살아남을까

배셰태 2015. 9. 20. 15:39

[인더스트리 다이어리] 성큼성큼 다가오는 無人車.. 택시기사는 살아남을까

조선일보 2015.09.19(토) 취재/이혜운 기자

http://m.media.daum.net/m/media/digital/newsview/20150919071204853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9/18/2015091802094.html

 

1769년 프랑스에서 자동차가 처음 발명된 이후, 인류에게 자동차는 늘 ‘복잡한 연장’이었다.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면 차가 앞으로 나갔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가 멈췄다. 핸들을 돌리면 차는 그 방향대로 움직였다. 10년 전만 해도 스스로 운전하는 자동차란 공상과학(SF) 영화에서나 등장하던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정보기술(IT) 업계를 관통하는 공통의 주요 화두(話頭)는 ‘무인차(無人車)’다. 자동차가 인간의 조작 없이 달리고 장애물을 피하며 목적지에 멈춰 선다. 사실 여기까지는 너무 복잡한 길만 아니라면 현재 기술로도 그리 어렵지 않다.

 

<중략>이미지

 

자동차 업계가 궁극적으로 목표로 삼는 무인차 시대는 이런 것이다. 자동차가 인간이 부르면 혼자 달려오고, 냉장고와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생수나 고양이 사료가 떨어졌다는 것을 알려준다. 자동차에 타고 있는 인간을 무사히 목적지까지 데려다주는 것은 물론이고, 이메일을 읽어주며 일정을 알려준다. 즉, 자동차가 주체가 되는 세상이다. 자동차 속 인간은 차가 운전하는 동안 기차에서처럼 낮잠을 잘 수도 있다. 자동차가 조작하는 ‘연장’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며 달리는 ‘로봇’이 된 것이다.

 

 

그래서 무인자동차 연구의 끝은 ‘로봇’ 분야로 통한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컴퓨터·인공지능연구소(CSAIL)의 첫 여성 소장인 다니엘라 러스(Rus)는 세계 최고의 로봇 전문가다. 지난해 다보스 포럼에서 ‘로봇의 시대’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했다. 그는 세계 최고의 무인차 전문가이기도 하다.

 

러스 교수는 CSAIL 사상 첫 여성 소장이기도 하다. 53년의 역사를 가진 CSAIL는 소프트웨어를 공유한다는 ‘오픈 소스’라는 개념을 처음 발명한 곳이기도 하다.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이 젊고 뛰어난 과학자에게 시상하는 ‘커리어 어워드’ 수상자이기도 한 러스 교수는 최근 일본 자동차 그룹 도요타의 인공지능 기반 자동차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중략>이미지

 

조선비즈 주최 ‘스마트 클라우드쇼’ 참석을 위해 방한한 그를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인터뷰룸에서 만났다. 곱슬머리에 세련된 치마 정장을 입은 그는 기자의 네일케어에 관심을 보이는 ‘천생 여자’였다. ‘로봇이란 주제와 잘 안 어울린다’고 말하자, 러스 교수는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로봇”이라며 웃었다.

 

러스 소장은 “이미 우리는 무인차의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말한다. 무인차에 필요한 레이더, 센서, 카메라, 인공지능 등 30여 가지 기술은 이미 수십년 전부터 개발된 것이며 지금은 이 기술들을 자동차라는 하나의 틀에 집어넣는 단계라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에 탑재된 ‘위급 시 자동 제동 장치’ ‘주행 자동 거리 유지 장치’ 등은 무인차 기술의 한 부분이다.

 

<중략>이미지

 

- 현재 로봇과 무인차 기술 발달 단계는 어느 정도인가요.

 

<중략>

 

- 그렇다면 무인차와 비슷한 로봇도 곧 대중화된다는 말이겠군요.

 

<중략>

 

- 인간과 같은 일을 하는 로봇과 무인차로 인류의 삶은 어떻게 바뀔까요.

 

“인류의 가장 큰 발명품 중 하나가 무엇인 줄 아세요? 바로 ‘세탁기’입니다. 세탁기 발명으로 여성들은 빨랫감과 씨름하던 시간에서 해방돼 그 시간에 자기 개발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저 역시 세탁기가 대신 빨래를 해주는 시간 동안 책을 읽고 연구를 합니다. 내가 해야 하는 일 중 단순하고 의미 없는 노동의 일을 로봇이 대신해준다고 생각해봅시다. 그 시간 동안 얼마나 우리는 많은 것을 할 수 있을까요. 무인차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미국인은 1년에 총 470억시간을 운전하는 데 사용합니다. 그 시간 동안 운전을 하지 않고 다른 무언가를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시간을 벌어준다는 것은 아주 큰 ‘혁명’입니다. 무인차가 개발되면 졸음 운전이라는 단어도 사라질 것입니다. 자동차가 컴퓨터처럼 각종 데이터를 모아 교통 체증을 피해간다면, 길에서 버리는 연료와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마찬가집니다. 미국에서는 5초마다 한 번씩 교통사고가 발생하는데, 이 교통사고의 95%가 인간의 작동 실수입니다. 교통사고로 미국에서 매년 124만명이 목숨을 잃습니다. 이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가 연간 2770억달러(약 326조7000억원)입니다. 교통사고는 세계 8위의 사망 원인으로 고혈압성 심장병보다 높습니다. 무인차의 개발은 인류 생존에서 심장병 특효약을 개발한 것보다 효능을 발휘하는 셈입니다.”

 

..전략(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