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된 개인, 미디어 미래의 중심] 미디어,콘텐츠.1인 창작자의 미래
미디어를 재정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로가 모바일로 이동하면서 콘텐츠 문법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TV로 방송을 시청하는 시간보다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을 보는 시간이 더 길어졌다고도 합니다.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신문이나 방송으로 정보를 소비하는 풍경은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려워졌습니다.
정보를 생산하는 주체도 바뀌었습니다. 기자 고유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뉴스 생산은 재능있고 전문성 있는 개인들이 그 일부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로봇이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됩니다. 블로그를 중심으로 한 시민저널리즘이 유행처럼 지나갔고 지금은 영상을 기반으로 한 멀티채널네트워크(MCN)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산업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승승장구하는 채널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 또한 평범하지만 재능 있는 개인들입니다.
연결된 개인(Connected Individual), 네트워크화한 개인(Networked Individual)은 ‘미디어의 내일’을 이끌고 갈 주역입니다. 독립된 개인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새로운 미디어의 탄생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도 더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며 이전과 전혀 다른 미디어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1인 미디어의 두 번째 혁명이라고 불릴 만합니다.
이에 맞춰 연결된 개인들이 자신들의 역량을 한껏 발휘할 수 있는 퍼블리싱 플랫폼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디엄, 브런치, 네이버포스트, 위드스토리즈 등 모바일과 연결된 개인을 지원하는 저작 플랫폼은 다시금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1세대 블로그 플랫폼과 달리 이들 2세대 퍼블리싱 플랫폼은 소셜네트워크의 성격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유튜브, 아프리카TV 등도 네트워크화된 개인들의 영상 플랫폼으로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세대 미디어는 형식의 디지털화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역량 있는 개인들이 표현의 자유를 향유하며 네트워크로 연결돼 생산, 유통, 소비의 변화를 주도하는 미디어를 의미합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디지털 수익모델을 갖추고 의제를 이끌어가는 지속가능한 미디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bloter.net/bloter-9th-anniversary-conference
(일부 발췌 각색)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혁명 2030] ESS 10kw1억 6천개면 미국, 20억개면 세계 공급 가능 (0) | 2015.09.10 |
---|---|
3D프린터로 약사, 약국, 약대의 소멸... 제약산업에 쓰나미가 몰려온다 (0) | 2015.09.09 |
우리에게 미합중국과 중화인만공화국은 크게 세 가지가 다르다 (0) | 2015.09.09 |
현존 헬스케어•금융•보험산업...10년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에 의해 붕괴 (0) | 2015.09.08 |
점점 치맛바람이 거세질 수밖에 없는 한국 교육, 모두가 바보 되는 치킨 게임 (0) | 201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