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핀테크 시대, 5년 후 '로보 어드바이저' 주류로 부상...자산관리사 대체 예상

배셰태 2015. 9. 6. 17:29

■자산관리도 로봇이 전문가 대체할까?

지디넷코리아=손경호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092&aid=0002082328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904163319&type=det&re=

 

기존 자산운용사들도 로봇 활용 확대

 

글로벌 핀테크 시장에서 자산관리를 사람이 아닌 로봇이 대신해 주는 일명 '로보 어드바이저(Robo Advisor)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었다.

 

이미 유명세를 타고 있는 베터먼트(Betterment), 웰스프론트(Wealthfront), 퓨처어드바이저(Future Advisor)에 이어 전통적인 자산운용사인 뱅가드, 찰스 슈왑 등도 여기에 가세했다.

 

야구 중계와 같이 단신 기사를 로봇이 대신 정보를 수집해 작성하는 '로봇 저널리즘'이 이미 AP통신, 블룸버그통신 등에 적용된 것처럼 이제는 금융 시장도 자산관리사 대신 로봇이 알아서 리스크를 줄이면서 투자하고, 수익을 내는 방안을 찾아주는 흐름이 확산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지난해 7월 기준 코포레이션 인사이트라는 리서치 및 컨설팅 회사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로보 어드바이저를 통해 관리되는 자산은 총 157억달러(18조7천191억1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다른 컨설팅 회사인 A.T.카니(A.T.Kearney)는 앞으로 5년 뒤에는 로보 어드바이저가 주류로 부상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관리되는 자산이 미국 내에서만 2조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2천385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람들은 왜 투자전문가가 아니라 로봇이 자신의 돈을 대신 관리해주기를 바라는 것일까. 포브스는 이를 두고 낮은 수수료와 함께 '밀레니얼 세대(Millenials)'의 전통 금융에 대한 불신 때문이라고 설명한다..(관련링크)

 

1980년~2000년초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는 디지털기기나 인터넷을 익숙하게 사용하는 세대를 지칭한다. 이들은 두 차례 전 세계에서 발생한 거대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전통적인 금융권에 대한 불신이 어느 세대보다도 강하다. 때문에 거대 은행이나 주요 자산관리사에게 돈을 맡기기 보다는 차라리 컴퓨터와 기술을 더 신뢰한다는 성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함께 로보 어드바이저가 주목받고 있는 배경이다.

 

로보 어드바이저는 기본적으로 투자수익과 관련된 세금을 가장 적게 낼 수 있는 방법을 자동화했다.(사진=베터먼트)

 

로보 어드바이저는 전문 자산관리사들을 대신해 별도 알고리즘을 적용한 소프트웨어로 리스크를 줄이면서도 수익에 따른 세금을 줄여주는 등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로보 어드바이저 고객들은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해 자신의 수입, 기대하는 자금 목표, 리스크 관리 등에 대한 사항을 입력하기만 하면된다. 그 뒤에는 로보 저널리즘이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으로 구현한 투자프로세스에 따라 대개는 다양한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s, ETFs)'에 투자하고 자산가치를 재조정(rebalancing) 하는 등 기능을 담당한다.

 

...이하 전략

===========

로봇이 자산관리…월가 '로보어드바이저' 열풍

한국경제 2015.09.05(토) 김은정 기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90425991<ype=1&nid=000&nv=4&sid=0901

 

로봇이 개인 자산관리의 전략을 짜주는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금융회사 직원을 직접 만나기보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라인 자문을 선호하는 30대 이하의 젊은 금융 소비자층을 집중 공략하면서다. 일반 금융회사 자문 수수료의 4분의 1에 불과한 저렴한 수수료도 로보어드바이저의 무기다.

 

전문가들은 로보어드바이저가 이르면 3년 내 자산관리 시장의 새로운 주류로 자리매김하고, 5년 뒤면 관리하는 자산 규모가 4500억달러(약 540조원)를 웃돌 것으로 보고 있다.

 

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이프라이빗뱅킹에 따르면 올 상반기 말 기준 200억달러 규모인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이 2020년이면 22배로 성장한 4518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