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 "정보 세대가 미래 디지털 변혁 이끈다"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15.04.22(수) 유재석 기자
https://www.imaso.co.kr/news/article_view.php?article_idx=20150422112353
언제나 인터넷에 연결돼 있는 정보 세대 부각
정보 세대가 미래 디지털 변혁을 이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월 22일 한국EMC는 ‘정보 세대(Information Generation)’의 출현과 이로 인한 비즈니스 환경 변화를 분석한 ‘정보 세대: 미래 변화의 원동력(The Information Generation: Transforming The Future)’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EMC가 미국의 ‘IFTF(Institute for the Future)’ 연구소와 시장조사기관인 ‘밴슨 본(Vanson Bourne)’에 의뢰해 실시한 것으로 C레벨 리더 3600명을 대상 심층 인터뷰와 워크샵을 통해 작성됐다. 언제나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이른바 ‘정보 세대’의 부상과 함께 데이터의 소비 방식,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해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보 세대는 오는 2024년까지 데이터 기반의 사회를 이끌어 나갈 것이며, 이들을 고객으로 둔 기업들 역시 새로운 수요와 필요에 직면할 것이다.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장 기회를 예측하고 찾아내는 능력, 개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업경영에 반영 등이 요구되지만 역량을 제대로 갖춘 기업은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세대(Information Generation)의 탄생
정보 세대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언제나 인터넷에 연결돼 있고 손가락 하나로 전세계 도처의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시민(Digital Citizen)’ 집단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정보 세대가 과거의 ‘베이비붐 세대’나 ‘밀레니엄 세대’와 같이 비즈니스 및 사회 전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며,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새롭게 설정하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서비스를 요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정보 세대로 대변되는 고객 집단은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에 연결되고(55%) ▲더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받으며(53%) ▲다양한 채널과 기기에서 접근이 가능하고(46%)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45%)을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보 세대의 부상과 새로운 비즈니스 역량
응답자의 96%는 정보기술의 발달로 정보의 민주화가 실현되고 고객의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비즈니스의 규칙도 완전히 달라졌다고 답했다. 향후 기업에게 요구되는 필수 역량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시장 기회를 예측하고 찾아낼 수 있는가
-투명성을 기반으로 고객 신뢰를 쌓을 수 있는가
-신속하고 유연하게 혁신을 이뤄낼 수 있는가
-독특하고 개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기업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가
<중략>이미지
<중략>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와 IDC는 2020년까지 70억 이상의 사람들이 최소 300억 개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44 제타바이트(ZetaBytes)의 데이터를 생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앞으로 경제 가치가 데이터로부터 창출될 것을 의미하지만, 기업들은 아직 데이터의 활용에 대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IFTF 연구소는 2024년까지 ‘정보 세대’의 부상으로 데이터가 주도하는 수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주요한 변화는 다음과 같다
-정보 경제(the Information Economy)의 정착: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를 거래하거나 기부하는 형태의 개방형 경제가 생겨날 것이다.
-에코시스템의 네트워크화(Networked Ecosystems): 자동차에서부터 냉장고나 커피잔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개체가 서로 연결되거나 인터넷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에 반응하게 될 것이다.
-증강 의사결정(Augmented Decision Making): 각종 데이터 분석 기술에 인공 지능과 머신 러닝이 더해져 개인이나 기업의 의사 결정을 보완하게 될 것이다.
-멀티 센서 커뮤니케이션(Multi-Sensory Communication): 시각이나 청각 외에도 다양한 지각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생성, 인지, 교환될 것이다.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Privacy-Enhancing Technology): 데이터 보안 기술이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완종 파문' 등 또 내우외환...발목 잡힌 대한민국 경제 위협하는 대내외 요인 (0) | 2015.04.23 |
---|---|
초고령화 시대, 향후 인구 고령화에 대한 3가지 시나리오 (0) | 2015.04.23 |
스타트업에 의해 대기업이 해체(Unbundling)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0) | 2015.04.22 |
[10년후 일자리 기상도] 국고용정보원 ‘2015 한국 직업전망’ 21일 발간 (0) | 2015.04.21 |
주택거래 급증의 역설...'부의 효과' 사라진 한국의 부동산 시장 (0) | 201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