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카카오·네이버, 메신저 부문 성장 둔화 우려" - 삼성
조선일보 2015.03.24(화) 윤성환 기자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5032400795
삼성증권은 다음카카오와 네이버가 메신저 부문에서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고 24일 전망했다.
오동환 연구원은 “다음카카오(035720)의 메신저 서비스인 카카오톡의 국내 이용자는 3700만명을 돌파했다”면서 “이는 60세 이상 노년층과 14세 미만 아동을 제외한 인구의 73%가 이용하고 있어서 더 이상 이용자가 늘어나기 어렵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또 NAVER 라인에 대해 오 연구원은 “매출의 75%가 발생하는 일본에서 월간활동사용자(MAU)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면서 “일본 전체 인구의 33%만이 라인을 이용하고 있지만 고령화로 인해 60대 이상 인구 비율이 32%를 넘는 만큼 스마트폰 보급률은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 연구원은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에서는 대형 개발사들이 카카오톡을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관찰된다”면서 “카카오톡, 라인 모두 광고 수익을 위해 카카오스토리나 라인 타임라인 등을 도입했지만 반응이 좋지 않다”고 전했다.
오 연구원은 “다음카카오는 올해 카카오페이, 카카오택시 등 신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마케팅비 800억원을 쓸 예정이고 네이버도 네이버페이, 라인택시 등을 홍보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늘릴 것”이라면서 “이들 서비스는 시장 활성화를 위해 매우 낮은 수준의 수수료만 받고, 기존 업체와의 경쟁이 치열해 올해 안에 좋은 실적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디언, "애플, 시가총액 1조 달러(약 1,106조 7,000억원) 곧 될 것" (0) | 2015.03.24 |
---|---|
유통 판도 바꾸는 모바일 쇼핑, 3년새 20배 '폭발 성장'…연매출 10조 넘었다 (0) | 2015.03.24 |
O2O 서비스 등 성과 지연...주가 흔들리는 다음카카오의 고민 (0) | 2015.03.24 |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을 사용하는 `무인자동차`가 만들어낼 새로운 세상 (0) | 2015.03.23 |
삼성전자의 경쟁력은 칸막이와 층계로 이뤄진 제조업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0) | 201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