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2015.03.19(목) 권영전 기자
스마트폰 때와 달라…"폐쇄운영이 안드로이드 웨어 죽인다" 비판도
구글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애플의 아이폰보다 후발 주자로 시작했지만 불과 수년만에 아이폰을 제치고 세계 최다 모바일 운영체제(OS)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안드로이드 OS의 점유율은 무려 81.2%나 됐다. 스마트폰 10대가 팔리면 그중에서 8대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셈이다.
후발주자인 안드로이드가 아이폰을 제친 것은 플랫폼을 개방했기 때문이라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애플이 OS는 물론이고 앱(애플리케이션) 장터까지 개방하지 않고 특유의 폐쇄성을 유지한 것과 달리, 구글은 안드로이드 OS를 오픈 소스로 개방해 운영했기 때문에 널리 퍼졌다는 것.
<중략>
그러나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 지배력을 착용형(웨어러블) 기기까지 이어가려는 구글의 시도는 성공을 거두고 있지 못하다.
<중략>
업계는 착용형 기기 제조사들의 이런 움직임의 원인으로 구글의 폐쇄적인 안드로이드 웨어 정책을 꼽고 있다. 구글이 스마트폰용 안드로이드를 배포할 때와 달리 안드로이드 웨어를 내놓으면서는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모습이 보인다는 것이다.
폰아레나·트러스티드리뷰 등 외신에 따르면 양 용(Yang Yong) 화웨이 부사장은 "안드로이드 웨어는 안드로이드처럼 열려 있지 않다"면서 "스마트워치에서는 표준이 될 수 없다"고 진단했다.
한 국내 업체 관계자도 "안드로이드 웨어는 아직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 있어 다른 플랫폼을 사용하고자 하는 업체가 많다"며 안드로이드 웨어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구글의 완고한 성격(Stubborn Nature)이 안드로이드 웨어를 죽이고(killing) 있다"는 표현으로 구글의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포브스는 구글이 '구글 나우'처럼 뛰어난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폐쇄적 정책 때문에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반면 구글로서는 안드로이드 웨어에서 스마트폰 때처럼 개방적일 수 없는 처지다. 애플이 스마트폰과 태블릿PC는 물론이고 앱스토어에서까지 막대한 수익을 올리는 것과 달리, 구글은 안드로이드에서 그만큼 효율적인 수익을 얻지 못한다는 시각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악성앱이나 문자결제사기(스미싱, smishing)와 같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가진 보안 문제를 방지하는 데도 폐쇄적 운영이 필요한 부분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착용형 기기 시장에서는 스마트폰 시장과 달리 안드로이드가 확고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다양한 OS가 경쟁하는 양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온라인TV 서비스 9월 개시...미국 및 한국의 방송시장과 제조사 지각변동 (0) | 2015.03.20 |
---|---|
[TED 2015] 크리스 엄슨 구글 총괄, "2020년에 자율 주행차 상용화" (0) | 2015.03.20 |
[샤오미 단말기-MS OS] 중국 판매 1위 미4 사용자에 윈도10 탑재 (0) | 2015.03.19 |
[스크랩] 투명 디스플레이의 시대가 다가오다!! (0) | 2015.03.19 |
속도 내는 '이재용 비즈니스`…플랫폼으로 사업 모델 바꾸는 삼성전자 (0) | 201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