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ICT> ②가장 주목할 기술 '사물인터넷'
연합뉴스 2014.12.22(월) 김은경 기자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41219167700017&mobile
<중략>
국내 연평균 33% 성장 전망…정부, 글로벌 주도권 확보 위해 총력 지원
------------------------
<※편집자주 =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2015년에는 국민 생활 속에서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일상에서 모바일을 통해 누릴 수 있는 생활 서비스가 더욱 다양화되고, 생활 속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한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주고받을 수 있는 정보도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도 ICT 분야를 비롯한 미래의 먹거리를 선점하기 위해 창조경제의 성과를 구체화하는 데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새해 ICT 분야를 모바일, IOT, 창조경제 등 세 분야로 나눠 전망해본다.>
--------------------------
생활 속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도래했다.
가트너·한국IDC·KT경제경영연구소 등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기관들이 일제히 2015년 ICT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이슈 및 기술 중 하나로 IoT를 꼽을 정도로 사물인터넷은 이제 우리 생활 깊숙이 파고들었다.
지난 10월 부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공동결의안으로 결의한 'IoT(세계적으로 연결된 세상을 준비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촉진)' 의제가 ITU 결의로 채택됐다는 것은 사물인터넷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그만큼 크다는 방증이다.
IoT 시장은 세계에서 지난해 2천억 달러(약 220조원)에서 2020년 1조 달러(약 1천100조원) 규모로 연평균 26.21%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내 시장의 예측 성장 규모는 더 커, 지난해 2조3천억원에서 2020년 17조1천억원으로 연평균 32.8%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우리나라 IoT 준비지수는 G20 국가 중 2위로 측정된다.
현재 글로벌 기업들은 IoT 글로벌 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해 경쟁 중이나 아직 지배적 사업자는 없다. 이러한 기회의 땅에 발을 들인 정부는 IoT DIY(이용자가 직접 제품 서비스 개발) 센터를 개설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고 민간에서도 IoT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 사물인터넷, 최적의 글로벌 서비스 인프라
IoT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물리적 및 가상의 사물들을 연결해 언제 어디서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글로벌 서비스 인프라다.
기술 범위는 서비스·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보안 등 5가지로 구성된다. 지금도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많으나, 이 기기들끼리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인간의 조작이 개입돼야 했다.
하지만 IoT 시대에서는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인간의 개입 없이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NFC), 센서데이터,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서로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최근 구글이 내놓은 스마트 안경 '구글글래스'가 IoT 기반 기기의 대표적인 예다. 증강현실을 활용한 웨어러블 기기 '구글글래스'를 통해서는 실시간으로 보는 것들을 촬영해 이메일·메신저 등으로 전송할 수 있고, 반대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이메일·메신저를 글래스에 띄워 볼 수 있다.
물론 IoT 시대에 발맞춰 가려면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이 있다. IoT는 기존 ICT 기술이 발전하면서 융·복합되고, 타산업과 도메인 융합을 동반하는 등의 과정에서 생성된 복잡한 기술 생태계다.
특히 이용기관 및 기업별로 폐쇄적으로 돼있던 산업 생태계가 개방형 IoT 서비스 생태계로 전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술 생태계를 모두 고려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를 접근해야 한다는게 업계의 지적이다.
◇ "글로벌 주도권 잡자"…정부 다각적 지원
<중략>
<중략>
◇ 기업들도 새로운 먹거리로 사물인터넷 진출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기업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loT 시장에서 신성장동력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SW 사업(바다 OS, 챗온) 잇단 실패…'타이젠 OS'는 성공할까? (0) | 2014.12.24 |
---|---|
삼성전자, 내년 1월 중 '바다 OS' 개발자 사이트 폐쇄 (0) | 2014.12.24 |
[2015 ICT①] '생활혁명' 꿈꾸는 모바일…플랫폼 진화 '박차' (0) | 2014.12.23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015년 인터넷 및 정보보호 10대 산업이슈 전망 (0) | 2014.12.22 |
중국에서 핀테크(fintech)가 뜨는 두 가지 이유 (0) | 201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