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회 2010.08.11 (수)
필자는 지난 7월 청와대에서 열린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 보고회에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민간위원으로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스마트워크를 우리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낮은 노동 생산성, 일자리 부족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꼽았다. 스마트워크는 사무실로 출근해서 일하는 업무형태에서 탈피해 언제 어디에 있으나 업무를 할 수 있는 그것도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개념으로 세계 최고의 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경우 비용절감 및 생산력 향상에 탁월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재택근무, 원격근무, 모바일 오피스가 가능해져 출퇴근 시간 절감과 함께 교통비용 및 탄소배출량 감소 등은 물론 중장기적으로 일자리 창출 및 기업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IT산업은 몇 번의 혁명을 통해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주도했다. 1970, 80년대 기계식 교환기를 대체한 전자식 전화교환기 보급은 '1가구 1전화' 시대를 열었고, 기업활동과 일반 생활에도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1990년대에는 디지털혁명이 일어나 이동전화에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도입으로 '1인 1이동전화' 시대를 열었고, 초고속인터넷의 보급은 '정보통신 일등국가 IT강국 KOREA'라는 평가를 얻게 했다. 이제 휴대전화와 인터넷은 기업의 활동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생활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러한 IT혁명이 필연적으로 새로운 산업의 출현과 동시에 기존산업의 경쟁구도를 바꿔버린다는 것이다. 1990년대 인터넷의 보급은 네이버, 옥션 같은 닷컴산업을 창출했을 뿐 아니라 기존 기업들이 서비스 청약, A/S 등에 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였다.
지난해 11월 아이폰의 도입과 함께 촉발된 IT산업의 혁명에 의해 또 한 번 사회 전반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른바 21세기 IT 혁명 'SMART'가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SMART 혁명에 남들보다 발 빠르게 적응한 개인에 의한 1인 창조기업은 1천 개의 일자리 창출효과와 270억 원의 거래효과를 창출했다. 기업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1월 스마트폰을 이용해 전 직원들이 시설을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한 서울도시철도공사는 5년간 102억 원을 투입해 4천억 원이 넘는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영국의 통신회사 BT는 1986년부터 유연 근무제도를 도입해 올해 현재 9만2천 명의 직원 중 87%가 재택근무 등 유연 근무를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근무 태만율이 20% 줄고, 생산성이 30% 높아졌으며, 연 9천억 원의 비용이 절감되고 1천200만ℓ의 석유와 9만7천t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있다고 한다.
정부도 이러한 효과에 주목하고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2015년까지 공무원의 30%, 전체 노동인구의 30%가 스마트워크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수도권의 원격근무 1일당 90여 분의 출퇴근 시간이 절감되고 연간 111만t의 탄소배출량과 1조6천억 원의 교통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이날 회의에서 "스마트워크는 그냥 혁명이 아니라 대혁명적 변화"라고 이야기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가 실제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도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우선 꼭 모여서 얼굴을 맞대야만 일을 할 수 있다는 인식과 관행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또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제도를 고치고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워크센터, 모바일 근무, 디지털 협업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근무환경이 조성돼야 하고, 전담 부서와 전담 공무원을 지정해서 진행사항을 점검하고 시행상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아울러 민`관 공동투자를 통해 지역 내에 있는 여유 업무공간을 스마트워크 시범사업에 활용하거나 인프라를 선행 구축하고, 초기단계에서 재택근무를 일정규모 이상 실시하는 기업에 대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석호익 KT 부회장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킹맘 돕고 환경도 보호하는 ‘스마트 워크’ (0) | 2010.08.13 |
---|---|
한국 스마트워크 혁명 시작됐다 (0) | 2010.08.13 |
고령자 고용프로그램 만들어야 (0) | 2010.08.13 |
고용시장 최대 이슈 '20대 일자리' (0) | 2010.08.13 |
[스크랩] 웰빙 시대의 필수 지식, “영양 성분표” (0) | 201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