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만의 글로벌 기업 속으로] (12) 핀테크로 새로운 금융 생태계 만든다 / 알리바바
한국일보 2014.12.15(월) 장학만 선임기자
http://www.hankookilbo.com/m/v/92fc85e4ab6d4b0abacec2c272ef3d97
IT 결합한 금융기술, 모바일 결제 넘어 중국 서민금융 속으로
하루평균 1조6000억 결제
싱글데이엔 10조원까지 처리
소액대출 보험으로도 확장
인터넷 은행사업에도 진출
알리바바마윈 알리바바 그룹 회장.j/2014-12-15(한국일보)
알리바바의 금융 전문회사인 개미금융서비스그룹의 로고
<중략>
이처럼 모바일 결제는 중국인들의 일상생활 속으로 빠르게 녹아 들고 있다. 알리페이 모바일 결제는 하루 사용 건이 8,000만 건을 넘어섰다. 전체 결제의 54%로 PC결제를 앞설 정도다. 최근 1년간 알리페이 총 결제액은 3조8,720억위안(633조원)으로 하루 평균 106억위안(1조6,000억원)이 알리페이로 결제되고 있는 셈이다.
알리페이가 빠르게 대중화하는 데는 중국적 배경이 있다. 중국의 신용카드 보급률은 8%에 불과한 반면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3년 기준 70%에 달해 모바일 결제가 그만큼 간편하고 손쉽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알리페이 전체 사용자 3억명 중 대다수는 자기가 알리페이를 사용하고 있는지조차 인지하지 못할 만큼 모바일 결제는 생활 일부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온ㆍ오프 유통의 새 지평을 연 모바일 결제
지난 11월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광군제(光棍節ㆍ싱글데이) 기간 알리바바 산하 온라인 쇼핑몰인 티몰(天猫ㆍ톈마오)은 571억위안(10조3,600억원)이라는 사상 최대 규모의 매출을 올렸다. 이들의 결제는 모두 알리페이로 이뤄졌고, 이 중 절반에 가까운 243억위안은 모바일을 통해 거둬들였다. 모바일 티몰의 사용자는 총 8,000만명에 달한다.
올해 출범 10주년을 맞은 알리바바의 금융 전문회사 개미금융서비스그룹의 자회사인 알리페이 인터내셔널의 사브리나 펑 대표는 한국일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알리페이는 지난 싱글데이 당시 초당 8만 건, 분당 285만 건의 거래를 처리했고 24시간 동안 총 10조원의 거래금액을 처리하면서 한 번의 사고도 없이 트래픽을 모두 소화할 만큼 안정된 결제수단임이 입증됐다”고 강조했다. 펑 대표는 “비자와 마스터카드에 이어 전 세계 3번째로 큰 결제서비스인 알리페이가 빠른 속도로 중국 국민들의 삶에 스며들 수 있었던 건 간편함과 편리성, 그리고 안전성 때문”이라고 말했다.
제3자 보증결제 시스템인 알리페이는 미국의 페이팔같이 개인이 은행계좌나 신용카드를 알리페이 서비스 계정에 등록, 온ㆍ오프라인 거래에서 물건 구매 때 사용하는 전자지갑 서비스이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에서 고객의 간편성과 편리성만 추구하다 보면 보안과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기 쉽다. 이른바 ‘ 천송이 코트’로 논란을 빚은 보안프로그램 액티브X에다 비밀번호에 특수기호까지 입력해야 하는 우리나라 상황에선 알리페이의 보안 관리가 궁금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펑 대표는 “신뢰와 안전이 자산이라는 금융서비스 철학을 가진 알리페이는 지난 10년간 다섯 단계의 안전방어막 체계를 구축하는 등 온라인상 위험요소를 견고하게 방어하는 완벽성을 기해 왔다”며 “사용자 인증, 개인정보와 계정, 거래보호 등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철저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1999년 중국 제조기업과 국내외 기업 간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인 알리바바닷컴을 시작으로 오늘날 알리바바그룹이 중국 온라인 시장의 거대공룡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데는 바로 알리페이가 가장 큰 몫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은 알리바바의 뉴욕증시 상장 후 가진 인터뷰에서 “개인 간 C2C(Consumer to Consumer) 전자상거래 서비스인 타오바오(淘寶)닷컴과 알리페이가 알리바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실질적인 성장 기폭제 역할을 했다”고 말할 정도다.
<중략>
특히 알리페이는 알리바바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영과 더불어 제품 분실사고가 빈번한 중국 상거래시장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개선하는 해결사 역할을 했다. 펑 대표는 “2004년 12월 타오바오의 온라인 거래에서 전용결제 서비스로 시작했던 알리페이는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신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간편 결제 시스템이었다”며 “그러나 알리페이는 타오바오의 틀을 벗어나 중국의 온라인 쇼핑이 발전하기 위해서 넘어야 할 근원적인 결제 문제를 해결했을 뿐 아니라 나아가 금융과 IT기술이 결합한 핀테크(파이낸셜 테크놀로지ㆍ금융기술)를 지향하며 간편 결제는 물론 송금과 대출, 투자, 펀딩, 자산관리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가는 계기를 제공했다”고 강조했다.
서민과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서비스
“중국의 금융업, 특히 은행들은 상위 20% 고객에게만 서비스를 해 왔다. 나는 그 동안 서비스를 받지 못했던 나머지 80%의 서민과 중소기업 고객들을 봤다. 은행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은행을 변화시킬 것이다.” (마윈 2009년 11월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략>
펑 대표는 “위어바오는 최저 가입 한도가 1위안 이상으로 시중은행의 5만위안 이상인 것과 비교할 때 진정한 서민을 위한 금융상품으로 언제든 환매할 수 있다”며 “이 같은 혁신적인 시도가 경색된 금융업계에 새로운 시장을 창출했고, 동종업계는 물론 중국 금융시장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키는 데 일조했다는 점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은행들의 견제가 심해지고 위어바오의 수익률이 5% 이하로 떨어지면서 안팎으로 우려의 시각도 높은 상황. 이에 대해 펑 대표는 “알리바바는 위어바오 말고도 엔터테인먼트 영화나 게임에 투자하는 위러바오(娛樂寶) 소셜 펀드상품도 출시했다”며 “이 같은 투자상품은 사용자의 자금을 안전하게 보장하는 것을 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금융과 투자 환경의 변화 등을 고려해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손실가능성 등이 예금과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민을 위한 알리바바의 금융서비스 노력은 소액 대출과 온라인 보험 사업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2011년에 시작한 알리파이낸스는 타오바오와 알리바바닷컴 등에 입점을 원하는 창업 새내기와 중소사업자들의 사업비용을 융자해 주는 소액대출 서비스에 나서고 있다. 알리파이낸스는 자체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축적된 거래량과 재구매율, 만족도, 판매자와 구매자 간 대화 이력 등 수집된 '빅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출심사 대상자의 신용도를 평가해 대출서비스를 하고 있다. 또 온라인 보험회사인 중안자이센 등을 인수해 서민들을 위한 보험서비스를 적극 확대하고 있다.
마윈 회장은 최근 미국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알리바바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철학을 이같이 말했다. “만일 구글이 기술의 영역을 개척했다면 알리바바는 기술을 가지고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우리가 하는 작업은 중국사회를 진정한 상업사회로 이끄는 것이고, 서민과 중소기업, 그리고 농민들이 그것으로부터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금융서비스도 그렇다. 알리바바는 서민과 중소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신용 시스템을 만들고 싶다. 기득권 세력만이 누리는 중국 금융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새로운 금융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꿈이다.”
<중략>
새로운 금융 생태계의 조성
중국 정부로부터 지난 9월 온라인 민영은행 허가를 취득한 알리바바는 10월 마이(?蟻ㆍ개미)금융서비스그룹을 출범시키고 본격적으로 금융 관련 서비스 확대의 발판을 마련했다. 개미금융은 알리페이와 위어바오 등 알리바바의 금융 관련 모든 자회사와 사업부 등을 총괄하는 일종의 금융지주회사.
펑 대표는 “개미라는 명칭을 붙인 것은 중소기업과 서민들을 겨냥한 서비스이기 때문”이라며 “금융서비스라고 명명한 것도 전통적인 금융지주회사가 아닌 서비스 중심의 개방적인 사고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미로 미래 중국 금융 분야의 혁신과 발전을 이끌겠다는 마윈 회장의 강한 의지에서 나온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개미금융서비스는 오픈 플랫폼 전략을 견지할 것”이라며 “다양한 협력파트너들에게 알리바바가 그 동안 축적해온 빅 데이터와 클라우딩컴퓨팅, 시장거래라는 세 가지 플랫폼을 지속해서 오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알리페이가 보유한 고객들의 각종 결제 데이터들이 이미 다가온 옴니채널, O2O(온라인ㆍ오프라인 거래) 시대를 대비한 알리바바의 핵심 자원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빅 데이터에는 고객들의 주요 지출과 제품ㆍ서비스의 선호도, 신용정보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데이터가 포함된다. 여기에 최근 요우커들이 전 세계 시장으로 퍼져 가면서 알리바바는 알리페이의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중국과 글로벌 시장의 변화를 누구보다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바로 이 같은 알리바바의 데이터 인프라가 협력 파트너들에 선별적으로 제공되고 이들을 모두 끌어안아 새로운 금융 생태계를 만들어 가겠다는 것이 'IT 금융제국'을 이루려는 알리바바의 야심인 셈이다. 이미 은행과 보험, 자산운용사 등 200여 개의 금융회사가 알리바바의 생태계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펑 대표는 “금융 협력파트너들은 개미금융서비스가 제공하는 신용정보 등 빅 데이터를 공유해 새로운 금융상품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개미금융은 신용체계를 구축하고, 인터넷 시대의 금융 환경을 확장해 사용자들과 함께 ‘신용이 곧 자산’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고가 스마트폰 점유율 9%P 급락 ‘쇼크’ (0) | 2014.12.16 |
---|---|
다음카카오 "카카오페이, 2000만명이 사용하는 국민 결제 플랫폼 될 것" (0) | 2014.12.16 |
팀 쿡 CEO ‘올해의 인물’ 선정돼..애플 기업가치 7000억달러(770조여억원) (0) | 2014.12.15 |
아마존도 무릎 꿇린 구글...급성장하는 글로벌 앱스토어(구글플레이) (0) | 2014.12.15 |
정부 ‘핀테크(Fin Tech) 산업 육성방안’ 마련...새해 업무계획에 반영 (0) | 201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