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못피우는 협동조합
전남일보 2014,11,21(토)
■ 지역 실태와 개선점
광주ㆍ전남 600여개 우후죽순
자본금ㆍ인력 대부분 영세
쉬고있는 업체가 절반 육박
![](https://t1.daumcdn.net/cfile/blog/264EA0405471234C0E)
사람을 위해,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경제인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지난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되면서 '협동조합 시대'가 활짝 열렸다.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2년째인 현재 광주에 390개가, 전남에 212개가 설립된 상태로 협동조합 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협동조합의 양적 팽창 못지 않게 자립적 발전을 위한 경영내실화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600개 우후죽순 설립
20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012년 12월 1일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광주에 390개, 전남에 212개 등 총 602개가 설립됐다. 광주의 협동조합을 살펴보면 제조소상공인이 99개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도소매유통업이 89개로 다수를 차지해 광주의 산업구조를 반영한 제조업과 유통 업종의 설립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강환경사회복지 분야는 65개, 교육 58개, 문화예술 49개 등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협동조합이 만들어지고 있었다.
전남지역 협동조합은 농도인 지역 특성상 농업ㆍ임업ㆍ어업 관련 협동조합이 전체 212개 중 43.8%인 93개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처럼 광주ㆍ전남지역 협동조합이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는 것은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에 다른 정부나 자치단체로부터의 지원에 대한 기대감에 기인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실 사업체 수두룩
지역의 협동조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안정적인 자립기반을 갖춘 협동조합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와 자치단체가 협동조합과 일자리 양적팽창이라는 성과에만 집중하면서 무분별하게 설립인가를 해주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회적 경제의 대안으로 주목받던 협동조합이 오히려 부실한 사업체만 양산하는 역효과를 낳고 있는 셈이다.
광주ㆍ전남 협동조합의 종사자 수는 5~10명 규모가 가장 많은 상태로 대부분이 10명 이하의 사업장이었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 등이 지난 5월 한달여간 당시 설립된 광주지역 협동조합 358개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했으나, 이 가운데 205개만이 실태조사에 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53개 협동조합은 비활동 혹은 사업중단, 사업구상이 진행중이라는 이유로 조사에 응하지 못했다.
지난해 광주발전연구원의 실태조사에서도 광주 협동조합이 설립신고시 내놓는 출자자본금은 최소 5만원에서 최대 1억8000만원으로 평균 845만원이었다. 광주 협동조합의 76%인 174개소가 전남 협동조합의 2곳중 1곳꼴인 52.8%의 자본금이 1000만원 이하로 규모는 영세했다.
지역 협동조합 대부분이 생계형으로 당초 협동조합 육성 목적인 사회적 가치 지향형 협동조합은 소수만이 운영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광주 협동조합은 가장 어려운 점으로 '자금조달 및 후원금 확보'(31.0%)를 꼽았다. 판로 개척ㆍ홍보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협동조합도 많았다. 사업기반도 약한데 실제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데 있어서도 판로 확보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자립 생태계 조성해줘야
협동조합이 영세성을 극복하고 자립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협동조합의 자율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협동조합이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사회적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도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광주발전연구원 문경년 박사는 "협동조합이 지속가능성을 갖기 위해서는 설립 단계에서부터 명확한 사업모델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며 "협동조합 활성화 조건에서 사업모델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만큼 이를 위한 전문적인 컨설팅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지역의 협동조합이 최대 애로사항으로 꼽고 있는 자금조달을 위해 소상공인정책자금, 소셜 펀딩, 크라우딩 펀딩 등 각종 지원활동도 전개해야 한다.
광주시 관계자는 "공유경제 중심의 협동조합과 마을기업을 육성하는데 집중하고 있다"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발전기금도 조성해 협동조합을 활성화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