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는 삼성-샤오미는 애플과 '닮은꼴'
아이뉴스24 2014.11.12(수) 민혜정기자
중국 샤오미가 중국판 애플이라면 화웨이는 중국판 삼성이 되고 있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화웨이와 샤오미가 삼성전자와 애플의 성공방정식을 이어가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스스로를 인터넷 기업이라 규정한 샤오미는 애플처럼 자체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장을 동시에 공략하고 있다. 이와 달리 하드웨어 기업인 화웨이는 삼성전자의 '완제품-부품' 수직 계열화 시스템을 추구하고 있어 주목된다.
12일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샤오미의 지난 3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총 1천800만대로 점유율 5.6%, 세계 3위에 올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출하량이 3배 이상 늘었다.
또 화웨이는 3분기에 1천650만대를 출하, 점유율 5.1%로 5위를 차지했다. 화웨이도 전년대비 출하량이 30% 늘리며 샤오미와 함께 선두주자인 삼성전자와 애플을 위협하는 업체로 부상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이들 중국 업체과 애플이나 삼성과 같은 성공전략까지 그대로 벤치마킹 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략>
화웨이는 다른 중국 제조사들이 갖지 못한 하드웨어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의 삼성전자로 불리우고 있다. 실제로 화웨이는 회사 연구소에 삼성전자 연구 전담팀이 있을 정도로 삼성의 성공 모델에 관심을 보여왔다.
<중략>
실제로 화웨이는 한국에서 LG유플러스에 통신장비를 공급했고, LG유플러스의 알뜰폰(MVNO) 자회사 미디어로그를 통해 스마트폰 'X3'를 지난달 출시하는 등 LG유플러스와 끈끈한 관계를 이어나가고 있다.
◆AP 독립 vs OS 독립 승자는?
반면 샤오미는 애플과 공통점이 많다. 하드웨어 판매를 통해 콘텐츠 구매를 유인하는 사업모델을 가지고 있다. 기기 생산도 애플처럼 외주 생산업체에 맡겨 운영비를 절감하고 있다.
샤오미는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운영체제(OS) 미유아이(MIUI)를 애플의 iOS와 같은 생태계로 만드는데 힘을 쏟고 있다. 1천명 이상의 연구원이 모두 미유아이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것.
<중략>
왕 연구원은 "샤오미에는 1천명 이상의 연구원이 있는데, 이들 모두 미유아이를 개발하고 있다"며 "이들은 미유아이를 중심으로 샤오미의 스마트폰, TV, 셋톱박스 등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케빈 왕 연구원은 "화웨이는 자체 개발한 칩셋 등 핵심기술 역량에, 샤오미는 소프트웨어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며 "라이벌 관계인 두 기업은 인도·브라질 등 신흥시장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트너 "사물인터넷(IoT) 시장 쑥쑥 클 것.. 2015년 30%↑" (0) | 2014.11.13 |
---|---|
게임을 '마약' 취급하는 한국...'창조산업'으로 우대하는 독일 (0) | 2014.11.13 |
[은행없는 은행이 온다] 한국, 핀테크 인터넷전문은행 육성 필요 (0) | 2014.11.12 |
핀테크 전쟁, 국내 '삼성전자•다음카카오'..'이베이•구글•애플•알리바바' (0) | 2014.11.12 |
[애플페이와 알리페이 연동] 애플, 알리바바와 중국결제시장 진출 초읽기 (0) | 201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