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2014.08 13(수) 조동성 서울대 명예교수·안중근의사기념관 관장
국민이 바로 창조경제의 주체
‘창업이 더 안전’ 인식 필요
창업 위한 제도적 문턱 낮춰야
<중략>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창조경제'를 제시하면서 "창조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란이 시작되었다. 창조는 기업이 하는 것이고, 기존 기업보다는 창업 기업이 창조에 대한 DNA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 서울대에서 2000년부터 창업경영을 가르쳐온 나에게 창조경제는 '창업경제'로 다가온다. 창업경제는 "창업이 활성화되는 경제"이다. 국민 누구던지 쉽게 창업을 하고, 창업에서 성공하는 확률이 20%에서 30%, 40%로 높아지는 경제이다.
창조경제를 창업경제로 규정하면 정부와 민간의 역할이 명쾌하게 정립된다. 정부는 창업에 대한 문턱을 낮추는 동시에 창업에서 실패한 사람들에게 재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창업 조건을 완화하고, 창업자금이 원활하게 융통되도록 생태계를 조성하며, 창업자가 실패하더라도 신용불량자로 전락하지 않고 제2, 제3의 창업을 시도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민간, 즉 우리 국민은 창업 주체이다. 우리나라가 창업경제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정부를 탓할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책임을 느껴야 한다. 창업이 성공하는 경우 혜택은 우리 국민들이 누리기 때문이다. 지금 국민들, 특히 젊은이들은 창업을 기피한다. 창업보다는 중소기업,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대기업보다는 공기업을 선호한다.
최근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과 나눈 대화를 소개한다. 나는 "인생에는 안전한 길과 위험한 길이 있다"고 화두를 떼었다. 그 다음 "직장을 선택하는 것과 창업을 하는 것 중 어느 쪽이 안전하고 어느 쪽이 위험한가?"하고 물어보았다.
<중략>
학생들이 질문했다. "창업을 하더라도 80%는 실패하지 않습니까?" 나는 동의했다. "맞다. 창업을 하면 처음 시도에서 20%밖에 성공하지 못한다. 그러나 두 번째, 세 번째 시도에서는 성공률이 50%, 80%로 올라간다. 한 사람이 한 번만 창업을 사회에서는 성공률이 20%이지만, 한 사람이 두 번 창업을 하는 사회에서는 60%, 세 번 창업을 하는 사회에서는 92%로 올라간다. 연속해서 세 번만 창업하면 열명 중 아홉 명 이상 성공하는 길, 이 것이 바로 창업이다. 이만큼 안전한 길이 또 어디 있겠는가?"
학생들이 또 질문했다. "우리 나라에서는 첫 창업에서 실패한 사람에게 신용불량자 낙인이 찍혀서 창업에 제도전할 기회가 없지 않습니까?" 내 답변은 달랐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경제 금융상품] KB국민은행, 13일부터 '창조금융예금' 판매 (0) | 2014.08.14 |
---|---|
박근혜 대통령 “창조경제만이 살 길…사양산업은 없다” (0) | 2014.08.14 |
모바일 메신저의 혁신…콜택시ㆍ금융ㆍ사물인터넷(IoT) 가능 (0) | 2014.08.11 |
부산시,`협동경제플랫폼` 홈페이지 구축 및'우리마을지도' 완성 (0) | 2014.08.11 |
우버가 촉발한 공유경제 논란 (0) | 201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