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인류를 위한 미래 메가프로젝트 무엇이 되어야하나?

배셰태 2014. 8. 7. 12:04

인류를 위한 미래 메가프로젝트 무엇이 되어야하나?

미래는 풍요의 시대가 온다고한다. 하지만 우리의 노력과 선택집중은?

교통, 기후 등 대안. 박영숙유엔미래포럼 정리

인데일리 2014.08.06(수)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 / 유엔미래보고서2030 저자

http://www.indaily.co.kr/client/news/newsView.asp?nBcate=F1002&nMcate=M1003&nScate=1&nIdx=24608&cpage=1&nType=1

 

 "구글CEO 래리 페이지 (Larry Page), 버진 리처드 브랜슨,  X-프라이즈 재단 CEO 피터 디아만디스 같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미래에는 '풍요 시대'에 진입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래에 인간은 점점 더 여가시간을 많이 가지고 편해질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더 열심히 일할 필요가 없어지며 더 많은 여행, 휴가 레저를 즐기는 시간을 갖게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미래상이다"라고, 다빈치연구소장(한국대표 박영숙) 토마스 프레이는 주장한다.
 

그렇다. 맞다. 인간은 구글 무인차가 운전하는 수백만 대의 차량으로 이동하며 자동차의 숫자가 드라마틱하게 줄어들어 도로는 한산하게 된다. 로봇 시스템 끊임없이 제조, 용접, 조립하여 수백만 개의 인간의 일자리를 제거하며 24시간 작동한다. 과거에는 자동화하는 것이 불가능 해 보이던 것들도 자동화가 되고 기계 자동화가 컴퓨터와 사람의 작업을 대체한다.

 

자동화 및 인공지능(AI) 기능이 인간의 참여를 줄여주고, 인간은 대부분 공유작업과 협업을 하게되며, 마이크로 고용 소득 보장과 같은 솔루션에 초점을 맞춘다.

그것이 옵션이 될 수 있지만, 사람들이 중요한 자신의 미래에 대해 덜 관여하고 기계나 자동화가 제공하는 가치에 덜 연결된 느낌을 받는 "실생활에서 멀어지는 기피자 생활"로 빠져드는 위험 또한 도사리고 있다. 사회생활에서 인간은 더 연약하고 게으른 모습으로 남게되는 위험이 온다. 인간은 삶의 투쟁에 큰 가치를 두며, 도전에 실패 할 때 가치관의 붕괴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 선박, 고층빌딩을 짓는 모든 정보가 대규모 데이터 저장 센터에 저장되고 모든 장치에 글로벌 무선 네트워크가 생성되어 연결되고, 무엇을 창조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크게 줄어든다. 하지만 이 새로운 상품이나 기술은 인간의 능력과 기대를 감소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지수 기능 법칙"을 제시하고저 한다.

 

<중략>

 

미래의 메가 프로젝트 

이집트 위대한 피라미드 구축, 중국의 만리장성 건립, 달에 인간을 착륙시키는 일 들이 메가 프로젝트인데, 인류를 정의하고 미래 세대를 위해 기대치를 높이는 방법이 된다. 그래서 ​​미래의 메가프로젝트가 무엇이 되어야하는지 생각할 때 이런 프로젝트를 지원해야한다.

1. 인프라재구축(Infra Recreating) - 현재 미래 인프라는 미래 세대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정밀 검사를 필요로한다. 고속도로, 대중교통, 통신, 우편시스템, 물 공급, 식량 공급 등의 메가프로젝트가 필요하다.
2.우주산업 (Space Industry) 우주관광, 소행성 광물질채취, 우주기반 발전소, 타행성 식민지화 등의 우주 산업은 인류의 끝없는 도전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산업이다.
3. 날씨조절(Weather Controlling) - 우리는 지속적으로 자연의 힘의 피해자가 된다. 앞으로 허리케인, 토네이도, 우박, 지진  피해를 완화할 의무가 있다.
4. 지구중심 도달(Reaching Earth Center) - 지구의 중심에 대해 거의 모르기 때문에 지속적인 지진, 화산폭발을 맞는다. 우리가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지구중심을 연구하고 더 많은 것을 알아야 할 의무가 있다.
5. 중력조절(Gravity Controlling) - 자연의 가장 큰 힘은 중력이다. 중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중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6. 과거보기(Viewing the Passt) - 우리가 어떻게 홀로그램 기술로 과거를 볼 수 있는지를 연구해야한다.  형태로, 실제로 수십 년 전의 이벤트를 재생 할 수 있다면 많은 것을 역사로부터 배울 수 있다.
7. 빛의 속도로 여행(Traveling at the Speed of Light) - 인간의 최고속도 기록은 1969년에 설정되었다. 우리가 이제까지 다른 행성으로 여행을 하려는 많은 방법 중 빛의 속도로의 이동이 중요하다. 
8. 무제한 전원공급장치 (Inexhaustible Power Supplies)- 세계경제가 에너지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있다. 무제한 전원공급장치나 기술이 나오면 무한한 기회가 될 것이다.


결론 

우리는 확장된 기능에 대한 몇 가지 단점을 들 수 있다. 인터넷중독 기하급수적으로 많은 중독자를 양산할 것이다. 위험한 인간들 끼리의 글로벌 충돌이 기하급수적으로 비참한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우리의 성능과 능력 증가 기능과 함께 이런 것들이 부족한 인간들 끼리의 갈등이나 그들이 일으키는 수많은 문제를 예상 할 수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인간은 더 많은 남은 시간을 미래에서 지낸다. 더 좋은 미래를 만드는 것이 인간의 권리이자 의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