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비즈 2014.07.09(목)
“삼성의 전략이 영리해보이지 않는다.(Samsung’s strategy not looking so smart)”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 9일(현지시각)자에 실린 기사의 제목이다. 앞서 ‘어닝쇼크’에 해당하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를 염두에 둔 말이기도 하다.
FT는 삼성전자의 실적이 이처럼 악화된 원인을 스마트폰 사업 전략에서 찾을 수 있다고 전했다.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했고, 갤럭시 S3 이후 혁신적인 스마트폰을 내놓지 못했다는 것이다.
FT는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11년 말 25%에서 현재 18%까지 하락했다.
북미와 유럽 등 선진국 스마트폰 시장은 포화 상태라는 게 중론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세계 최대 시장으로 떠오르며 성장 여력이 많은 곳으로 꼽힌다.
투자은행 업계는 중국 현지 업체들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샤오미와 같은 신생회사들이 ‘짝퉁’이라는 오명을 넘어서 질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삼성전자는 200~250달러대의 스마트폰으로 중저가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 중국 업체들은 이보다 100달러 낮은 가격에 제품을 내놓고 있다.
스마트폰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기술 차별화를 꾀하기 어려워지면서 삼성전자의 경쟁력은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유튜브 연내 점유율 80% 돌파 확실··국내 동영상 시장 통째 넘어가다 (0) | 2014.07.12 |
---|---|
삼성전자를 밀어내는 샤오미의 비결, 아이폰처럼 만들고 아마존처럼 판다 (0) | 2014.07.11 |
삼성전자, '앱스토어' 에서도 구글과 교통정리 (0) | 2014.07.11 |
[샤오미>애플>삼성>HTC]샤오미 vs 아이폰…앱 활용도 샤오미 '승' (0) | 2014.07.10 |
방통위, 단말기유통법 고시안 마련(`14.07.09)…실효성에 의문 (0) | 201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