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구글 유튜브 연내 점유율 80% 돌파 확실··국내 동영상 시장 통째 넘어가다

배셰태 2014. 7. 12. 05:41

유튜브 점유율 79%… 국내 동영상 시장 통째 넘어가나

경향신문 2014.07.11(금)

 

ㆍ2008년 2%에서 초고속 성장… 인터넷 실명제 등 규제 영향

ㆍ국내 콘텐츠 사업 위기 직면… 유튜브, 광고까지 ‘싹쓸이’

 

인터넷 동영상 시장에서 유튜브 ‘질주’가 계속되고 있다. 연내 점유율 80% 돌파가 확실시돼 국내 동영상 콘텐츠 시장이 통째로 유튜브에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1일 인터넷 조사업체 ‘코리안클릭’이 집계한 동영상 점유율 수치를 보면 유튜브는 지난달 79.4%를 차지해 국내 시장 진출 이래 최고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 8월(72%)과 비교해 7%포인트 늘었다. 연내 80% 돌파도 유력하다.

 

유튜브는 2008년 점유율이 2%에 불과했지만 2009년부터 국내 업체들에 인터넷 실명제와 성인 인증 등 규제가 집중된 틈을 타 급성장했다.

 

국내 업체들은 고사 직전이다. 6월 2~5위인 판도라TV, 곰TV, 티빙, 엠군 등 국내 업체 점유율을 합해도 10%에 못 미쳤다. 업계는 “이런 추세라면 2~3년 안에 국내 업체 대부분이 문을 닫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동영상 서비스는 미래 핵심 콘텐츠 사업이다. 현재 4G 롱텀에볼루션(LTE) 이동통신 서비스나 향후 활성화될 ‘기가 인터넷’ 서비스 등에서도 동영상 서비스는 주요 수익원으로 손꼽힌다. 콘텐츠(동영상) 제작만큼, 전달하는 플랫폼(통로)의 경쟁력 확보도 중요하다. 유튜브가 그 플랫폼을 장악한 셈이다.

 

<중략>

 

정부 한 관계자는 “구글 규제에 나섰다가는 미국으로부터 여러 통상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부담도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