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애플 닮은 구글 변심이 개발자에 주는 의미

배셰태 2014. 7. 7. 11:51
애플 닮은 구글 변심이 개발자에 주는 의미

지디넷코리아 2014.07.04(목)

 

안드로이드에 대한 구글의 태도가 확 바뀌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개방성을 외쳤는데, 요즘은 일관성을 많이 강조하는 듯 하다. 최근 열린 구글 I/O 컨퍼런스는 안드로이드에 대한 구글의 우선순위가 이제 일관성으로 옮겨왔음을 분명하게 확실하게 보여준 행사였다.

 

구글은 I/O를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자동차, 스마트워치, TV 등 다양한 안드로이드 기기들에 걸쳐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다양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하나로 묶기 위한 매트리얼 디자인 원칙을 강조했고, 제조사나 개발자들이 구글이 세운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따르도록 했다. 아이폰의 개방적인 대안이라며 안드로이드를 쓰는 제조사나 개발자들에게 상대적으로 많은 재량권을 줬던 몇년전과는 다른 모습이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다양한 기기로 확장하면서 '이렇게 해야 하고, 뭐는 하면 안된다'식의 조건들이 많이도 붙었다. 구글이 제시한 조건들은 권고가 아니라 사실상 의무에 가까운 것들이다.

 

웨어러블용 플랫폼인 안드로이드웨어의 경우 스마트워치를 만들때 하드웨어 업체에 주어진 선택은 극히 제한적이다. 원형으로 갈지 정사각형으로 갈지를 빼고나면 제조 업체가 역량력을 행사할만한 것은 많지 않다. 배터리 크기, 디스플레이 유형, 어떤 센세를 포함시킬지도 구글이 쳐놓은 제한을 벗어날 수 없다.

 

<중략>

 

제조 업체는 스마트워치 표면을 여러개로 내놓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제품을 차별화하기가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다. 안드로이드TV라고 해서 크게 다를 것은 없다. 안드로이드TV 기반 셋톱박스를 만들지 완제품을 만들지 결정하는 걸 제외하면 하드웨어가 업체가 많은 입김을 불어넣기는 힘들어 보인다.

 

모바일 앱 개발자들도 달라진 새로운 구글 헌법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섰다.

 

.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