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문 2014.03.31(월)
부산지역 협동조합에 대한 시의 실태조사 결과가 실망스럽다.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1년을 맞아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무늬만 조합'이 수두룩했다. 시에 조합설립을 신고한 99곳 중 법인등기를 마친 곳은 84곳(85%)에 그쳤고, 최종단계로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까지 완료한 곳은 59곳에 머물렀다. 10곳 중 4곳이 사실상 사업을 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이다.
부실 조합이 많은 것은 구체적인 사업 계획 없이 정부 지원만 기대하며 설립된 탓이 크다. 조합 법인 등기를 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53%가 '원활하지 못한 사업 추진'을 꼽은 데서 잘 드러난다. 한편으로는 이 같은 '묻지마 조합 설립'이 정부나 지자체가 조장한 측면은 없는지 따져봐야 할 것이다. 광주시의 조합 수는 지난해 말 현재 248개로 서울(885개), 경기(419개) 다음이다. 부산(183개)보다 많다. 시가 조합을 일자리창출 차원에서 접근했기 때문이다. 이런 관 주도형 조합이 바람직한 모델이 될 수는 없다.
협동조합이 부산 지역경제의 핵심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부산 협동조합은 평균 조합원 수(25.9명)나 조합당 평균 출자금(1354만 원)이 전국 평균(58.7명, 2937만 원)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방송통신·정보 서비스업 등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업종은 거의 없고 도소매업이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구조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제대로 된 우수 조합을 육성하는 것이 절실하다.
부산지역 협동조합의 내실화를 위해 최대 과제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실태조사에서도 협동조합에 필요한 인력으로 41%가 경영 전문가를, 22%가 재무관리자를 각각 꼽았다. 아울러 시 조례에는 1년에 한 번 조합 실태조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공개하도록 돼 있으나 이번 첫 조사에서는 전체 조합의 절반가량인 99곳만 파악된 것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실태조사에 응하지 않은 조합일수록 문제 조합일 가능성이 높다. 가능한 전수조사가 이루어져 협동조합 난립과 부실의 시행착오를 막아야 할 것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노동자협동조합연맹 사무총장 초청 간담회 속기록(`14.03.29) (0) | 2014.04.01 |
---|---|
협동조합을 가장 많이 아는 `이수연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연구원`의 고민 (0) | 2014.04.01 |
개방형 혁신 세계최강 기업은 샤오미·하이얼-크리스 앤더슨 (0) | 2014.03.29 |
제2 삼성전자 만드는 기업환경이 창조경제-폴 로머 뉴욕대 교수 (0) | 2014.03.29 |
IoT 혁명, 초연결·공유사회(공유경제)로 진화할 것-제레미 리프킨 교수•토머스 프리드먼 칼럼니스트 (0) | 201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