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스크랩] 미국과 다른 유럽형 ‘창업 스타일’

배셰태 2014. 3. 7. 08:32

 

미국과 다른 유럽형 ‘창업 스타일’

최근 유럽계 스타트업들의 활약상이 대단하다. 영국의 모바일게임 전문 리뷰 사이트인 포켓게이머(PocketGamer)가 선정한 2013년 50대 기업 리스트를 보면 1, 2위를 핀란드 스타트업인 슈퍼셀(Supercell)과 로비오(Rovio)가 차지하고 있다. 7위는 영국・스웨덴 합작사인 킹(King)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출시 1년 만에 5억 건 이상이 다운로드된 ‘캔디 그러쉬 사가(Candy Saga)’ 게임으로 유명한 회사다. 게임 외에 다른 분야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노키아(Nokia)에서 퇴사한 직원들이 설립한 핀란드의 욜라(Jolla)는 지난해 말 ‘욜라폰’을 선보였고, 최근 핀란드 내 스마트폰 판매량에서 ‘아이폰 5S’와 ‘아이폰 5C’를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성공한 스포티파이(Sportify), 스카이프(Skype)도 스웨덴, 에스토니아 기업이다.

프랑스 투자사들, 창업에 거액 투자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유럽 스타트업들이 이처럼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이유는 인큐베이터(incubator),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컴퍼니 빌더(company builder) 등 창업지원 프로그램들이 성과를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 EU가 창업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에서 시작된 스타트업들이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사진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아이디어로 성공을 거둔 스포티파이(Sportify) 웹사이트. 2008년 창업해 현재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https://www.spotify.com/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아일랜드, 체코, 스페인, 슬로바키아 등 유럽 10개국을 대상으로 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여 년간 유럽 내 창업지원 규모가 크게 늘어났다.

엑셀러레이터와 인큐베이터의 수를 집계한 결과 2001~2007년까지 연평균 14%씩, 2008~2014년까지 29%씩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창업생태계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액셀러레이터다. 예비 창업가를 발굴해 초기 투자와 교육・멘토링 등을 수행하면서 스타트업들이 바로 서는 데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소규모 벤처캐피털이라고 보면 된다. 현재 액셀러레이터가 가장 많은 나라는 영국이다. 50개의 액셀러레이터가 있는데 이중 32개가 런던 지역에서 활동 중이다. 그 다음으로 엑셀러레이터가 많은 나라는 스웨덴으로 22개를 기록하고 있다. 조사대상 10개국에 설립된 액셀러레이터는 94개에 이른다.

액셀러레이터 등의 창업투자 규모를 보면 프랑스와 독일의 경우 10개국 중 가장 큰 규모로 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의 경우 무려 18만 유로(한화 약 2억6천460만원)의 투자가 이루어졌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등에서는 2만~6만(한화 약 2천940만~8천820만원) 규모의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액셀러레이터 당 평균 투자규모는 기업 당 4만1천유로(한화 약6천27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유럽위원회 ‘스타트업 유럽 파트너십’ 발표

액셀러레이터들은 투자금액에 대해 지분을 확보하고 있다. 보통 5~15%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는데, 독일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20%대의 지분율을 보였다. 이는 다수의 지분 확보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 컴퍼니 빌더가 많기 때문이다. 컴퍼니 빌더는 단순한 투자가 아니라 스타트업을 만들고 성장시키는 일을 함께 수행하고 있다. 직원 채용서부터 법무・재무・마케팅 등에 세부 업무에 걸쳐 상세한 자문을 하는 만큼 투자액에 대한 많은 지분율을 확보하고 있다.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에서도 인큐베이터, 벤처랩(venture lab) 등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다수 선보이고 있다.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업무 공간을 제공하고, 아이디어 등을 지원하면서 비즈니스를 개발해나가는 방식이다. 일부 대학에서는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롤 모델인 미국 스탠포드나 MIT처럼 활발한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외부 창업가와의 교류가 잘 이루어지지않고 있어 그 실효성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창업지원에 대힌 EU의 관심은 매우 뜨겁다. 지난 1월 유럽집행위원회 부위원장인 네일리 크루스(Neelie Kroes)는 유럽 내에 창업 활성화가 매우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새로운 액셀러레이터 지원 프로그램과 유럽 스타트업을 위한 싱크탱크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스타트업 유럽 파트너십(Startup Europe Partnership)’이라고 명명한 액셀러레이터 지원 프로그램에는 유럽 스타트업들의 자금유치와 글로벌화를 위한 대규모 지원책이 포함돼 있다.

싱크탱크 계획에는 ‘유럽디지털포럼’ 등을 통해 기업인들의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고, ‘유럽디지털 지수(Europe Digital Index)’ 등을 산출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오는 2월14일에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생태계 현황, 성과 측정 및 평가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강봉 객원편집위원 |  aacc409@naver.com
저작권자 2014.03.06 ⓒ ScienceTimes

원문보기 ▶ 미국과 다른 유럽형 ‘창업 스타일’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글쓴이 : 미래창조과학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