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스마트폰 시장 중국發 지각변동···알뜰폰 사업자 중국산 도입 검토

배셰태 2014. 1. 21. 12:32
스마트폰 시장 중국發 지각변동 예고
국민일보 2014.01.21(화)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재편을 노리는 중국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엔가젯 등 IT전문매체들은 중국 정부가 산하기관인 중국과학원 소프트웨어연구소(ISCAS)와 상하이 리안퉁사가 함께 개발한 운영체제(OS) COS(China Operating System)를 공개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정부 차원에서 새 OS를 개발한 것은 구글 안드로이드와 애플 iOS로 양분된 스마트폰 생태계 구도를 깨기 위한 의도다.

 

<중략>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20일 지난해 4분기 중국 내 스마트폰 판매량을 8530만대로 추정했다. 1위인 삼성전자가 1750만대, 애플이 500만대를 판 것을 제외하면 6000만대 이상이 중국 업체의 몫이었다. 중국 업체인 레노버는 4분기 1120만대를 판매하며 삼성전자를 추격하고 있고 화웨이도 국내외 점유율을 높이며 전 세계 3위 스마트폰 업체로 성장했다. 쿨패드, 샤오미, ZTE 등 다른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도 자국에서 수백만대를 판매하며 이제는 외국 시장까지 노리고 있다.

지난 10일 막을 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화웨이와 ZTE는 스마트폰 신제품을 공개하며 북미시장 공략 의지를 내비쳤다. ZTE는 지난해 6%였던 미국 시장 점유율을 2017년까지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밝혔다. 샤오미도 올해 전 세계에서 지난해보다 배 이상 많은 4000만대의 스마트폰을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업체의 공세가 국내 시장까지 파고들 가능성도 있다. 일부 알뜰폰 사업자들이 중국산 스마트폰 도입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알뜰폰 업체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요즘 중국산 스마트폰은 가격 대비 성능이 좋다”며 “여건이 맞으면 중국산을 도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