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누구도 먹고사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자신뿐 아니라 가족의 생계까지 책임지고 있다면 더더욱 그러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인간은 누구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업을 갖습니다.
국어사전에서 직업(職業)의 뜻을 찿아보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해서 종사하는 일` 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직업에는 두 가지 주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첫째는 `생계를 유지할 목적`으로 직업을 갖는다는 것이고, 둘째는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춰 지속적으로 종사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영어사전에서 직업에 해당하는 단어를 찿아보면 `Job` 이나 `Occupation`이 있는가 하면 `Calling` 이나 `Vocation`도 있습니다. 모두 직업을 의미하지만 본질적으로는 뜻이 다릅니다. 전자의 경우엔 주로 먹고사는 수단이라는 뜻이 강합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엔 단순한 생계수단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타고난 적성이나 능력을 발휘해 행하는 일이 직업입니다.
직업은 각자가 스스로 자신의 직업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상당히 다른 의미를 지닙니다. 스스로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면, 그의 직업은 무슨 일이 되었든 `생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됩니다. 하지만 자신의 직업을 생계문제를 넘어 삶에서 추구해야 할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면 그에게 있어서 직업은 인생에서 반드시 이루고자 하는 자신의 소명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수단이 됩니다.
직업에 대한 관점을 저마다의 가치관과 처한 환경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직업이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면 생계 수단보다는 가치 실현의 수단으로 접근하는 것이 장기적인 차원에서 볼 때 더욱 바랍직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직업을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을 무시한 채 좋아하지도 않고 하고 싶지도 않지만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이 세상을 살면서 자신이 타고난 재능을 살려 좋아하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인생에서 꼭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와 소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어떤 직업을 갖는 것이 후회하지 않는 선택이 될지 더욱 명확해질 것입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직업 가운데 자신이 좋아하고 하고 싶은 일을 직업으로 삼으면 됩니다.
하고 싶은 일을 하다가 굶어 죽은 사람을 본 적이 있는가요? 하기 싫은 일을 하다가 굶은 죽는 사람은 있을지 몰라도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다가 굶어 죽는 사람은 없습니다. 있다면 지속적으로 하지 않고 중간에 포기해 버렸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고 싶은 일을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과 하기 싫지만 어쩔 수 없이 하는 사람의 운명은 앞으로 시간이 가면 갈수록 분명하게 차이가 나게 됩니다. 하고 싶은 일이긴 했지만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부딪치히게 되는 시련과 난관을 극복하는 사람과 극복하지 못하는 사람의 미래 또한 극명하게 갈릴 것입니다. 직업을 통해 인생의 가치를 실현하려고 하면 덤으로 생계문제까지 해결하겠지만, 생계문제를 해결한답시고 `묻지마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엔 가치 실현은커녕 생계문제조차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기 쉽습니다.
직업에 나를 맞추는 시대는 이제 점점 종말을 고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나에게 맞는 직업을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기존의 직업에 무작정 자신을 맡길 것이 아니라, 하고 싶고 잘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으려는 마인드를 가져야 합니다.
`현존하는 직장 · 직종의 80%가 앞으로 10년 후에 소멸할 것` 이라는 미국 노동부의 자료나 `2030년이 되면 1인 기업이나 자영업이 전체 직업의 90%를 차지할 것`이라는 미래학자들의 예측을 허투루 흘려듣고 넘겨 버지리지 말아야 합니다.
21세기에 우리가 가져야 할 직업관은 분명합니다. 다른 CEO 밑에서 일하려 하지 말고 그대 스스로 CEO가 되어 일을 해야 합니다. 남에게 고용될 생각을 버리고 그대 스스로를 고용할 생각을 해야 합니다. 면접 볼 생각만 하지 말고 1인 창업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그대를 구제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는 바로 그대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글 출처 : 정균승,《천직, 내가슴이 시키는일》,감영사. P.143~146
http://blog.daum.net/bstaebst/10729 ...일부 각색 했음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권에 한방 먹인 구글-안현실 한국경제 논설위원 (0) | 2013.11.22 |
---|---|
구직자·직장인 60%,"SNS 활동이 취업이나 이직에 도움이 된다" (0) | 2013.11.22 |
감성사회, 스토리텔링이 기업의 문화 리더십을 만든다 (0) | 2013.11.21 |
베이비부머의 미래-차은영 이화여대 교수 (0) | 2013.11.21 |
자녀 없이 성인 2~3명만으로 구성된 가구 급증… 4인 표준가구는 감소 (0) | 201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