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IT/과학 2010.06.21 (월)
KT 도매대가 방식 이통요금 50~60%선
파격적 기준 방통위 고시안 압박 예상
방송통신위원회가 오는 9월까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제도를 마무리할 예정인 가운데 KT가 경쟁사보다 먼저 MVNO 사업에 적극 나서면서 MVNO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KT가 발표한 도매대가 기준이 방통위가 마련중인 안보다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면서 관련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내년에는 와이브로를 이용한 MVNO 사업자도 등장할 예정이어서 MVNO발 요금 인하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발표한 도매대가 기준은 방통위가 마련중인 도매대가 고시안보다 유리한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MVNO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업체들도 전략을 재검토하고 있다.
KT의 도매대가 기준은 코스트플러스(Cost-Plus:원가가산) 방식으로, 방통위가 도입한 리테일마이너스(Retail-Minus:소매가할인) 방식보다 MVNO 사업자에게 유리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도매대가 산정 방식은 MVNO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 과정에서도 MVNO 준비 사업자들은 줄기차게 코스트플러스 방식을 요구했으나 결국 리테일마이너스 방식이 채택됐다.
KT가 공개한 음성 도매대가는 월간 통화량이 5000만분 이상일 경우 분당 50.3원, 100백만분 이하에서는 56.9원이다. 이는 현재 이동전화 소매 요금인 10초당 18원(분당 108원)의 50~60% 수준이다. 단문메시지(SMS) 도매 대가는 건당 10원으로 소매요금(건당 20원)의 2분의 1에 불과하다. 도매대가가 소매가격의 60% 정도만 되도 MVNO의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MVNO를 준비하는 사업자들도 사업 전략을 재검토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현재 KT안과 방통위 안에 대해 유ㆍ불리를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업체 관계자도 "KT의 안이 유리하다면 굳이 방통위의 도매대가 기준을 적용받는 의무제공사업자(SK텔레콤)의 망을 임대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KT의 파격적인 도매대가 기준은 방통위를 압박, 현재 마련중인 도매 대가 고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업계는 KT가 소매 요금의 최대 50% 정도의 도매 대가를 발표한 만큼 정부의 도매대가 기준은 60%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경우 현재 이동전화 요금보다 20% 이상 인하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MVNO 도매 대가가 파격적으로 제시될 경우 그동안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던 MVNO에 대한 전망도 낙관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MVNO 사업자들이 저렴한 요금과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시한다면 이동통신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KT 개인고객전략본부 양현미 전무는 "MVNO 사업자들이 기존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소홀했던 니치마켓을 공략하고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고객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성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전화 메시지..타이핑 아니라 '그린다' (0) | 2010.06.22 |
---|---|
와이브로ㆍMVNO 등장… 통신3강 체제 위협 (0) | 2010.06.21 |
트위터, 日열도 달군다 (0) | 2010.06.21 |
애플·구글에 대항할 슈퍼 앱스토어의 성공 조건 (0) | 2010.06.21 |
안드로이드폰 기대작 3종, 이번주 줄줄이 출시 (0) | 201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