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매트릭스' 스미스 요원처럼… 공간이동이 현실로?
한국일보 2013.05.19(일)
한ㆍ일연구팀, 기술 업그레이드… 이동 중 소멸 정보를 미리 증폭
레이저 빛의 90% 이상 유지
세포 하나에도 엄청난 정보 담긴 사람의 순간이동은 거의 불가능
"수천~수십만년 이상 걸릴 것"
몸이 열 개라도 모자라겠다 싶을 때가 있다. 내가 필요한 곳마다 순간적으로 이동해 찾아가고, 나 대신 내 일을 싹 마무리해주는 또 다른 내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많은 사람들이 이런 생각 한 번쯤은 해봤을 게다.
이론적으로는 전혀 불가능하지 않다. 이미 물리학자들이 공간 이동과 원격 복제 기술의 가능성을 증명해 보였다. 다만 실제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과학에게도 사람은, 너무나 복잡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정보 손상 거의 없이 순간이동
최근 우리나라와 일본 국제공동연구팀이 공간이동 기술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 실험실 한 쪽에서 만든 레이저 빛을 다른 한 쪽으로 수초 만에 90% 이상 동일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
<중략>
양자컴퓨터가 더 현실적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I/O 참관기-삼성을 생각하다]삼성전자의 진짜 상대는 애플 아닌 구글 (0) | 2013.05.20 |
---|---|
음성통화를 이동통신의 주가 아닌 `보조 서비스`로 인식할 때-오기석 KISDI 부연구위원 (0) | 2013.05.20 |
네 마리 토끼 잡기 구글의 역습-유민호 퍼시픽21 소장 (0) | 2013.05.19 |
[스크랩] 구글링 잘하십니까? (구글링 잘하는 방법) (0) | 2013.05.18 |
[구글I/O 2013] '구글 글래스' 단연 화제 (0) | 201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