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세태의 SNS 글 가져오기/페이스북(신규 계정 오픈)

2013년 5월10일 Facebook 이야기

배셰태 2013. 5. 10. 23:59
  • profile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한 번 보는 것이 백 번 듣는 것보다 낫다`라는 말이 요즘은 백견불여일각(百見不如一覺) 한 번 깨닫는 것이 백 번 보는 것보다 났고, 백가불여일행(百覺不如一行) 한 번 행하는 것이 백 번 깨닫는 것보다 낫다고 합니다.

    SNS를 통해 세상을 보는 눈이 커졌고, 막혔던 귀도 열렸으며, 지적으로나 감성적으로 깨어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객관식에 길들어진 많은 비즈니스맨들은 어떻게 표현하고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막막할 것입니다.

    사람들은 이제 밀착형 1mm 서비스보다 편한함을 느낄 수 있는 1m 서비스 즉, 인간미가 있으면서도 스마트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합니다.
    image
  • profile
    → 배세태 좋은 말씀과 멋찐 사진 감사합니다.
  • profile
    실패를 처박으면 창조는 없다
    중앙일보 2013.05.10(금) 이규연 중앙일보 논설위원
    http://blog.daum.net/bstaebst/9552

    한국·한국인에게는 실패 횟수를 최대한 줄이고 남의 것을 빨리 베껴서 성공한 경험이 있다. 모방 유전자가 앞으로도 필요하지만 그 약발은 약해질 것이다. 성장의 한계는 새로운 방정식을 요구한다. 도전·실패가 상수(常數)인 방정식이다. 실패를 두려워하면 실패하거나 작게 성공한다. 실패를 받아들이고 재도전하면 다시 실패하거나 크게 성공하는 시대에 우리는 들어섰다. -기사 일부 발췌
  • profile
    [도서] 에릭 슈미트 外1-새로운 디지털 시대
    http://blog.daum.net/bstaebst/9468
    현실세계의 문명과 가상세계의 문명, 둘 사이의 역동에 관한 이야기

    인터넷의 힘으로 正義 확산…창조경제 열쇠는 '쉬운 창업'
    매일경제 2013.05.09(목)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 단독 인터뷰
    http://blog.daum.net/bstaebst/9555

    앞으로 뜰 새 비즈니스 모델로 `헬스케어`를 지목했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을 포함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선진국들은 향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건강`과 관련한 분야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일부 발췌
  • profile
    → 배세태 특이한 바위네요.
  • profile
    방통위, SNS로 '집도 차도 나눠 쓰는' 공유경제 활성화
    뉴스토마토 2013.05.09(목)
    http://blog.daum.net/bstaebst/9556

    카카오톡과 라인, 싸이월드 같은 국내 SNS를 활용한 '소셜공공서비스 모델' 개발을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포럼을 5월(전문가좌담회)과 6월(개방형 포럼) 각각 개최할 예정이며 위탁기관(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공유경제와 SNS 연계방안에 대한 연구개발에 나선다. -기사 일부 발췌
  • profile
    120세 장수시대, 우리에게는 `삶의 작전시간`이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먼저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의 전반전을 평가하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는 각자 자기 인생의 전반전을 이기고 있다고 생각할까, 아니면 지고 있다고 생각할까? 만일 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전반전 그대로의 전략으로 후반전에 임했을 때 과연 이길 수 있으리라고 생각할까?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의 삶을 구조조정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죠.
    image
  • profile
    → 배세태 대단한 무게중심
  • profile
    베이비부머 74%, “체력 다 할 때까지 일할 것”
    데이터뉴스 2013.05.09(목)
    http://blog.daum.net/bstaebst/9558
    알바천국이 1955~1963년에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 249명을 대상으로 ‘퇴직 후 근로 의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20세 장수시대, 여러분은 은퇴 후에 어떤 삶을 꿈꾸고 계시는가요?
    http://blog.daum.net/bstaebst/9178
    유엔은 이미 4년 전인 2009년에 평균 수명이 100세에 근접하는 이른바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시대가 도래 했다고 말했습니다. `100세 시대`는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입니다.(····) 내가 왜 평균수명 이야기를 하는지 눈치 챘을 것입니다. 시각을 조그만 넓히면 현재 근무지가 정규직이냐 비정규직이냐, 또는 65세의 정년이 보장되는 철밥통 직장이냐의 구분이 무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은 것입니다.
  • profile
    SNS 시대는 수많은 창의와 혁신, 열정도 연결이 있어야 가능하다.
    http://blog.daum.net/bstaebst/8165

    페이스북 사용자가 10억 명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가 아니라 `사람의 바다`라는 뜻입니다. 정현종 시인의 시 <방문객>에서처럼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입니다.
  • profile
    과학의 세계에서는 티끌만한 먼지에서부터 거대한 은하계에 이르기까지, 인간과 지구를 포함한 우주 전체가 물리적으로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고 본답니다.

    은하계를 살펴보면 무수한 항성들이 우주 공간에 존재하고, 항성 주변으로 정해진 궤도를 따라 혹성이 돌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연 세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자연의 일부인 인간은 어떨까요? 인간 역시 다양한 생활 방식과 변화무쌍한 행동 양식으로 살아가지만, `거대한 자연 법칙`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거죠.
    image
  • profile
    → 배세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