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재미있는 TV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다가 약속 시간에 맞추기 위해 나가야만 할 때 예전 같으면 우리는 TV 프로그램을 다 보지 못하고 나가야만 했다. 하지만 지금은 약속 장소에 나가면서 휴대폰 DMB를 꺼내 연속해서 TV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으며 컴퓨터, 노트북을 이용한 인터넷을 통해서도 TV를 시청할 수가 있다. 지정 된 장소, 일정한 시간에 얽매이는 것이 아닌 이동중에도 TV 프로그램이 끝난 시간에도 원하는 프로그램을 마음 껏 시청할 수 있는 시대에 우리는 이미 너무나도 익숙해져 가고 있다.
이처럼 우리가 하나의 콘텐츠를 끊김 없이 태블릿 PC, TV,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N 스크린" 이라 한다.
<출처: 이티뉴스>
즉 이는 여러개의 스크린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나의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계속 해서 볼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구입한 콘텐츠가 단말기가 아닌, 서버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 한 것이다.
그렇다면 실제로 이러한 N 스크린 서비스가 실생활에서 어떠하게 이용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첫번째로 살펴 볼 N 스크린 서비스가 사용되는 곳은 방송사이다.
지상파 방송사는 앞다투어 N 스크린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는데 SBS의 "고릴라" , MBC는 "K-플레이어", MBC는 "POOK(푹)" 을 출시했다. 이는 모두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을 볼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방송 콘텐츠의 핵심이라고도 할 수 있는 지상파가 N 스크린 시장에 직접 뛰어들기 시작하면서 경쟁이 한층 가세 되어가고 있다.
SBS 고릴라는 PC와 스마트폰 등에서 실시간으로 SBS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미 사람들 사이에 많은 인기를 받고 있는 고릴라는 PC로는 500만회, 스마트폰으로는 150만회의 높은 앱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하고 있다.
<출처: 아이뉴스>
다음으로 살펴볼 KBS의 K 플레이어는 "Korea Media Evolution" 의 약자로서 많은 시청자들이 방송에 쉽게 다가 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 K 플레이어는 스마트패드의 용량이 부족해도, DMB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도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시청자들에게 제공되는 통합 미디어 플랫폼이다. KBS의 K 플레이어는 향후 순차적으로 KBS 방송 뿐만 아니라 KBS N 등 지상파 방송과 해외 방송을 서비스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출처: tvreport>
마지막으로 MBC가 내놓은 "POOK" 은 SBS와 콘텐츠를 공유하기로 밝힌 바 있다. SBS의 "고릴라" 와 MBC "POOK" 두 회사와 계열 채널 사용 사업자의 채널까지도 시청할 수 있도록 공유를 하는 것이다. 한 MBC 관계자는 "지상파를 보는 행태가 인터넷에서 스마트폰 등으로 달라지면서, 그간 플랫폼이 하나였던 지상파도 살아남기 위해 시청자의 이동을 따라가는 것" 이라고 하며 N 스크린과 관련한 입장을 밝혔다.
두번째로 N 스크린 서비스와 관련 하여 살펴 볼 측면은 "통신사" 부분이다.
KT가 9월 2일 부터 7일까지 독일의 가전 전시회에서 공개했던 스파이더폰은 메모리와 OS, CPU가 없는 외부기기에 휴대폰을 직접 결합하여 태블릿과 노트북 게임기 형태 등 여러가지 크기의 스크린을 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휴대폰이다. 여러가지 IT기기를 쓰며 비용과 각 기기별 사용법을 알지 않아도 이 휴대폰 하나로 고객은 N 스크린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SK텔레콤 에서는 TV셋톱 박스 기능을 스마프폰에 탑재해 별도의 셋톱 박스 없어도 고객이 TV서비스를 휴대폰을 통해 누릴 수 있게 하는 "갤럭시 S 호핀" 을 내놓은 바 있다.
<출처: 케이벤치>
말 그대로 TV 셋톱 박스 기능이 들어 있기 때문에 TV와 연결하면 그 즉시 셋톱 박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크래들과 리모콘 등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도 방송국, 통신사가 아니더라도 우리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는 점차 늘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교육전문기업인 두산 동아에서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서도 이용이 가능한 문제은행 서비스인 "N스크린 문제은행" 을 출시했다.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들이 하나 둘 씩 우리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고 점차 발전되고 있는 요즘. 1~2년 후에는 또 어떠한 일들이 우리의 상상 속 모습에서 현실의 모습으로 나타날지 기대 해본다.
두루누리 기자 - 하지수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MS, 모바일 영향력 떨어지자 안드로이드 진영 쥐어짜" (0) | 2011.09.30 |
---|---|
삼성전자, MS에 로열티 지급키로…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태블릿PC (0) | 2011.09.30 |
삼성전자·인텔·리눅스재단 전격 제휴 "도전 모바일OS" (0) | 2011.09.30 |
[MVNO 이슈 관전 포인트] SK텔레콤 ‘울상’…KT는 ‘덤덤’ (0) | 2011.09.28 |
[스크랩] 카카오톡 미국에서 1위, 국내 앱 해외에서도 쏠쏠하네~ (0) | 2011.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