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일본은 세계에서 노인인구가 가장 많은 ‘은퇴 대국’이다. 노인인구가 많아지면서 새로운 문제들이 등장하는데, 특히 새로운 가족 관계가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혈연, 지연 등이 사라지는 ‘무연사회’,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 등은 일본에선 일상의 풍경이 된 지 오래다. 지금까지는 임종을 사랑하는 자녀와 함께 한다고 여겼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들 대부분은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생활을 선택한다. 앞으로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될 가능성이 높다. 일본 언론에서도 가족 관계를 자주 다루는데, 일간지 요미우리 신문 계열의 시사 잡지인 AERA(아에라)에 실린 한 기사가 인상적이었다.
2010년 8월에 발간된 이 잡지의 커버스토리 제목은 ‘가족이 함께 사는 것이 행복이라는 말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커버스토리의 첫 번째 기사는 ‘늙은 부모여 사라져버려라’로 조금은 섬뜩하게 들린다.
이 기사의 핵심 메시지는 고령화로 가족 관계에서 새로운 모습이 등장하고 있는데, 노인의 유형을 크게 ▲사랑받는 노인 ▲연금 패러사이트 ▲독거노인 ▲무연사 예비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여기서 사랑받는 노인의 조건은 무엇일까. 가족 간의 사랑일까. 아니다. 서글픈 현실이지만 정답은 ‘돈’이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이 부자가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최소한 자녀와의 관계가 끈끈하게 유지되는 노인들의 특징은 이들은 매월 꾸준히 연금을 받는 사람들이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가족관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부모는 자녀를 사랑으로 대하고 자녀는 부모를 존중의 마음으로 모셔야 한다는 게 우리가 알고 있는 이상적인 가족상이었다. 하지만 고령화가 진척되면서 이런 가치관은 점차 퇴색하고, 경제력이 가족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등장한 것이다.
일본의 사례에서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할 주제 중 하나가 ‘연금과 가족관계’다. 고령화가 진척되면 연금은 단순히 생활비 이상의 개념을 갖기 시작한다. 연금이 있어야 자녀와의 관계가 유지되기 때문에 연금은 가족 관계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연금이 생활비와 가족 간의 유대를 잇는 끈이라는 두 가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사정은 일본보다 더 심각해질 수가 있다. 왜냐하면 일본은 공적연금인 국민연금과 후생연금 그리고 기업과 함께 불입하는 퇴직연금, 이 세 가지만 불입하더라도 은퇴 이후 생활비의 대부분을 충당할 수 있다. 여기에 본인이 더 노력해서 개인연금을 가입하면, 은퇴 이후에도 어느 정도는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민연금 외에는 공적연금이 존재하지 않고, 국민들의 저축율도 매우 낮은 편이다. 다시 말해, 일본보다 더 많은 준비를 해야 한다는 얘기다.
먼저 국민연금에 열심히 불입하자. 국민연금은 노후생활의 최소한의 안전장치다. 만일 가입이 안 돼 있다면, 임의가입자 자격으로라도 가입을 하자. 그리고 직장인들이라면, 퇴직연금을 퇴직 때까지 끝까지 유지하자. 세제 혜택이 주어지는 개인연금도 필수다. 연간 4백만 원까지 소득공제가 주어지는 개인연금에 가입하면, 절세 혜택과 더불어 노후 생활비 마련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흔히들 나이 들어서는 연금이 효자라는 말을 한다. 일본의 경험을 보면, 이 말은 사실로 드러났다. 그러나 상당수 우리나라 국민들은 자녀 교육비로 인해 노후 준비를 못하고 있다. 현실은 반대로 은퇴 준비를 위해 연금에 충실한 부모가 나중에 자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자녀 교육에 대한 투자가 자녀와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연금으로 준비된 노후를 맞이하는 사람이 더 행복한 가족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금에 대한 투자는 사랑스런 자녀와의 관계를 지키는 길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때다.
이상건 미래에셋 투자교육연구소 상무
ⓒ 따스아리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워크 열풍은 中企에도 (0) | 2011.09.10 |
---|---|
대한민국 국회, 미합중국 하원 FTA비준 시동소리 듣고 있나 (0) | 2011.09.10 |
[스마트클라우드쇼2011] 'IT산업의 新패러다임'…성황리 개막 (0) | 2011.09.08 |
정보화진흥원, '스마트워크' 활성화 위한 협의회 발족 (0) | 2011.09.08 |
미합중국 하원, 한·미FTA 비준절차 돌입 (0) | 201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