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스크랩] 착한소비 365 물건과 함께 사랑을 구매하시겠습니까?

배셰태 2011. 9. 6. 16:36
 

 

우리는 기업의 목적에 대해서 이윤의 추구라고 배웠다. 그리고 시험을 볼 때 이런 문제가 나왔다면 당연하게 이윤의 추구에 동그라미를 쳤을 것이다. 기업이란 이윤을 추구하는 조직 단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 들어 각종 매체에서 사회적 기업이라는 단어를 심심하지 않게 듣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사회적 기업’ 무엇일까?

 

 

 

 

 

좋은 일을 하면서도 수익을 내는 기업들에 주목


사회적 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와 일자리 등을 제공하면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고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판매하는 등의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한다. 즉 사회적 기업은 이윤 추구가 아닌 사회서비스 제공과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기업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어감상 좋은 일 하는 곳이라는 생각만 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들은 그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우리 주위에서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마련해주고, 또 희망을 나눠 주는 그런 일을 하는 곳이다. 결국 ‘빵을 팔기 위해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하기 위해 빵을 파는’ 기업 http://www.socialenterprise.go.kr/intro/company_notions.jsp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인용 인 것이다.


최근 이러한 좋은 취지를 갖은 기업들이 요즘 많이 생겨나고 있다. 아름다운 가게는 기증받은 물품을 매장에서 판매하고 그 이익금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곳이다. 이곳뿐만 아니다. 도시락을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은 친환경 재료와 천연 조미료를 사용해 조리하는 도시락을 판매하고 또한 일회용이 아닌 반찬용기를 이용해 도시락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사무용품, 청소대행업체, 돌보미 서비스, 공연, 여행서비스 등 이용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하다. 일반 기업의 물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과 다른 점이 있다면 소비자의 구매가 취업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 어떤 곳은 중증장애인들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돕는 장애인 직업 재활원으로서의 기업도 있다. 그리고 실제로 고용노동부에서 발행한 <착한소비365>라는 책에는 사회적 기업의 종류와 구매 방법을 적어 놓았으니 참고할 만하다.

 

 

 

 

사회적 기업을 통한 윤리경영


 

위키피디아에 있는 내용을 인용하면 ‘윤리경영(moral management)이란 경영활동의 규범적 기준을 사회의 윤리적 가치체계에 두는 경영방식을 뜻한다’라고 나와 있다. 사회적 기업은 바로 이런 윤리경영에 최고의 초점을 두고 운영되는 기업인 것이다. 그러나 모든 기업들이 모두 사회적 기업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각 기업은 그 특수성이 있을 수 있고 또 특성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볼 수도 있다. 우리 회사에서 쓰는 작은 문구 하나를 주문할 때 사회적 기업에서 만든 물품을 주문하는 것은 어떨까? 또 행사할 때 사회적 기업에서 도시락을 주문할 수는 없을까? 이런 작은 도움들이 바로 사회적 기업을 도우며 또한 취약계층과 각 지역 사회에 도움이 되는 윤리경영에 작은 발걸음이 될 것이다.

 

글_이화복 KAIT 대외협력팀 팀장 

 

 

 

 

 

 

 

 



출처 : 두루누리의 행복한 상상
글쓴이 : 방송통신위원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