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시부상 억대 부의금’ 논란 자초한 김은경 민주당 혁신위원장, 김영란법 위반 했나■■

배셰태 2023. 8. 9. 17:57

‘억대 부의금’ 논란 자초한 김은경, 김영란법 위반 했나
펜앤드마이크 2023.08.09 양준서
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67451

지난 5일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의 ‘시부모’ 관련 발언에 대한 시누이 김지나씨의 입장문이 처음 공개된 이후, 김 위원장의 아들이 반박 입장을 내놓음으로써 ‘집안 폭로전’이 가열되고 있다.

시누이 김씨가 8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100% 사실만 이야기했다”면서, 아들 대신 김은경 본인이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의 거짓말 논란이 집안 폭로전으로 비화하고 있다. [사진=채널A 캡처]

‘정치 언어’도 모르는 무지 드러내고 금전 관련 구설수에 시달려

양측의 주장이 첨예하게 갈리면서 진흙탕 싸움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대부분의 국민들은 심증적으로 시누이 김씨를 지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모든 문제에 대해 독자들이 진위 여부를 직접 가리기는 어렵지만, ‘시부모 문제’ 만큼은 시누이 김씨의 폭로가 사실을 담고 있다는 게 다수 여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시누이 김씨가 입장문에서 밝힌 ‘부의금 문제’ 역시 김 위원장이 직접 금융감독원 홍보실을 통해 배포한 것으로 알려진 ‘부고’를 살펴보면 사실인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금감원 부원장으로서 부의금을 받은 문제에 대해 ‘김영란법 위반’ 가능성까지 제기됨으로써, 이 부분에 대한 수사가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의 혁신을 책임지는 혁신위원장이 ‘정치 언어’도 모르는 무지를 드러내고 금전 관련된 구설수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① 김은경의 ‘효부 코스프레’ 거짓으로 드러나자 여론의 분노 폭발...개념 구별 못하는데 교수직 수행?

김 위원장은 ‘여명 비례투표’ 논란이 불거진 이후, 나흘 만에 사과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사과 입장을 밝힌 당일인 지난 3일 대한노인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자신의 노인 폄하 발언에 대해 사과하며 ‘효부 코스프레’를 한 것이 문제가 됐다.

김 위원장은 자신이 노인을 공경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시댁 어른들은 남편 사후에 제가 18년을 모셨다”고 밝힌 것이다. 김호일 대한노인회 회장 앞에서 사과를 하면서 떨리는 목소리로 한 그 말에 대해 대부분의 국민들은 ‘의외’라는 반응까지 내놓으며, 김 위원장 발언의 진실성을 의심하지 않았다. 며느리가 남편 사후에 시부모를 장기간 모신다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감동을 느끼는 국민들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김은경 위원장은 지난 3일 대한노인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시부모를 18년이나 봉양했다고 발언했다. [사진=TV조선 캡처]

‘보기와 달리 시부모를 18년이나 모셨다니 착한 면이 있다’거나 ‘혁신위원장으로서는 부족하지만 효부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용서가 된다’는 반응까지 다양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에 대한 평가는 지난 5일 시누이 김씨의 입장문이 알려지면서, 분노로 돌변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김 위원장이 ‘18년을 모셨다’고 했을 때, 당연히 ‘모시고 살았다’라는 얘기로 받아들였다. 수시로 찾아뵈는 것을 ‘모신다’고 하지 않는 것은 상식이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서울 방배동의 100평짜리 빌라에서 살고, 김 위원장의 시부모는 전북 완주에서 살았기 때문에 애시당초 모시고 사는 게 불가능했다. 시누이는 김 위원장의 거짓을 폭로한 이유로 김 위원장의 이같은 거짓말을 꼽았다. 시누이 김씨는 “새빨간 거짓말”이라며 “남편이 살아 있을 때를 포함해 단 한 차례도 모시고 산 적이 없다”고 했다.

이 부분에 대해 김 위원장의 아들 역시 “수시로 어머니와 함께 할아버지를 찾아뵀다”고 말했다. 시부모를 한 집에서 모시고 살지 않았다는 사실을 김 위원장의 아들이 확인해준 셈이다.

시부모를 간헐적으로 방문하는 게 ‘모시고 사는 것’이라고 표현할 정도라면 김 위원장은 정치 언어를 모르는 정도가 아니라 언어 자체가 서툰 사람이다. 이처럼 개념 구별을 못하는 사람이 법대 교수직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② 김은경의 시부상 조의금은 얼마나?...김영란법 저촉 가능성 제기돼

시누이 김씨가 지난 5일 밝힌 입장문 가운데 눈길을 끄는 대목 중의 하나는 ‘금감원 부원장이라는 타이틀로 보내온 부의금을 챙겨가는 모습’이다.

김은경 위원장의 시누이 김지나씨는 지난 5일 김 위원장의 거짓말을 폭로했다. [사진=TV조선 캡처]

이 부분에 대해 7일 채널A에 출연한 조상규 변호사는 “금감원 부원장은 조의금을 받으면 안 되는 자리”라고 지적했다. 김영란법이 있어서 5만원, 10만원은 가능한데 웬만하면 받지 않는다는 것이 조 변호사의 설명이다.

조 변호사는 ‘금융계 사람들로서는 금감원 부원장의 상(喪)에 조의금을 내기 위해 줄을 서려고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의금을 받았다는 사실 자체도 부끄럽게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 변호사는 “검찰에서 김영란법 위반이 있는지 없는지 확실하게 밝혀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 7일 유튜브 ‘어벤저스 전략회의’에 출연한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이에 대해 “금감원 부원장으로서 조의금을 받은 것 자체가 공직자로서 윤리 위반이기 때문에 조사할 경우 김영란법 위반 사항까지 추가적으로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역시 “(조의금이) 수억원 나왔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논설위원은 김 위원장이 금감원 부원장을 할 당시 시부모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는데, 코로나 기간이어서 정중히 사양한다면서도 부고를 냈다고 설명했다.

김은경 위원장의 시부상 부고에는 다른 형제 자매의 이름이 없이 당시 금감원 부원장이었던 김 위원장의 이름만 기재돼 있다. [사진=파이낸셜뉴스 캡처]

실제로 지난해 12월 3일 전북 완주의 한 장례식장에서 진행된 장례식과 관련한 부고 기사에는 김 위원장의 이름만 눈에 띈다. 김 위원장의 남편은 지난 2006년 극단적인 선택을 했기 때문에, 시누이들과 사위인 그 남편들의 이름은 부고에 기재돼 있어야 마땅하다. 비상식적인 부고를 낸 것도 의아한데, 시누이 김씨의 주장대로라면 ‘금감원 부원장 이름으로 보내온 부의금을 다 챙겨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의 아들은 (미국에 있는 막내) 고모는 장례식에도 안 왔고, 장례식 비용도 모두 김 위원장이 부담했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장 청년최고는 “금감원 부원장 신분으로 억대의 조의금을 받았을 확률이 높은데, 그 장례비용 가지고 뭐라고 하는 건 이치에 맞지 않다”고 질타했다.

장 청년최고는 김 위원장의 시누이 김씨가 시부모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도 “당시가 코로나가 한창인 시기였기 때문에 미국에 있는 김씨가 바로 입국하기 어려웠을 수도 있다”면서, 코로나라는 특수성도 감안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장 청년최고는 “남의 집 가정사를 가지고 평론하는 것이 마음이 편치는 않다”며 “대선 당시 영입한 조동연씨나 혁신위원장으로 거론된 이래경씨에 이어 김은경씨까지 모두 이재명 표 인사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패륜’”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이 대표가 직접 나서서 김 위원장을 해촉하든지 자진 사퇴를 권유해야 하는데 가만히 침묵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계속 얘기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휴가에서 복귀한 이재명, 김은경의 사퇴에는 묵묵부답

김빠진 사이다가 된 지 오래인 이재명 대표는 지난 7일 휴가를 마치고 복귀하고도 김 위원장의 논란에 여전히 침묵하고 있다. 기자들의 질문에 마지못해 이 대표가 내놓은 답은 “네, 좀 신중하지 못한 발언 때문에 마음에 상처를 받았을 분들이 계십니다.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휴가에서 복귀한 이후에도 김은경 위원장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사진=채널A 캡처]

하지만 김 위원장을 해촉할 것인지, 대한노인회를 직접 방문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답을 내놓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하루라도 빨리 김 위원장 문제를 정리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8일 채널A에 출연한 구자룡 변호사는 “정치권뿐만 아니라 프로 야구에서도 어떤 감독이 선수를 잘못 기용해서 결과가 안 좋으면 그것에 대해 책임을 진다”면서 “이 대표가 정리를 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