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칼럼 2010.04.28 (수)
정착지를 두지 않고 떠돌며 삶을 유지하는 `유목민`을 뜻하는 `노마드`는 금세기 들어 더욱 빠르게 그 모습을 변화시키고 있다.
미디어 학자인 마셜 맥루한은 이미 1970년대 초에 "21세기 인류는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전자제품을 이용하는 유목민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의식하건 못하건 `디지털 노마드족(族)`이 된 현실 속 개인과 기업들은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IT의 진화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진화에 또 하나의 놀라운 가속도가 붙고 있다. 바로 `스마트폰 혁명`이다. 이는 단순한 단말기의 교체 차원이 아니라 사용자들의 생활방식까지 변화시키는 거대한 트렌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시발점은 지난해 11월 말 이후 넉 달 만에 50만대 이상 팔린 아이폰의 국내 출시다. 이를 계기로 무선인터넷 시장에서 모바일 콘텐츠와 관련해 다양한 창작ㆍ소비 욕구가 분출하고 있다.
스마트폰 혁명에서 주목할 것은 정보통신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혁신적인 변화다. 우선 단말기 제조사나 통신사가 제품에 심어놓은 기능 또는 기술에 사용자들이 적응하고 수용해야 했던 시대는 지나가고,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통시키는 앱스토어 생태계가 확산되고 있다. 또 최근 미국에서 출시 첫날 60만대 이상 팔린 아이패드는 다양한 IT기기의 모바일적 경향을 강화시키고, e북 리딩 기능 등으로 콘텐츠 시장의 경쟁을 확대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성장의 배경이 되는 무선인터넷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은 대형 포털들에 취합된 정보보다는 모바일성이 강화된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킹사이트(SNS) 망을 통해 자신들 입맛에 맞는 현장의 정보를 생산ㆍ소통시키는 데 열중하고 있다. 자신의 폴로어(follower) 또는 이웃들로부터 정보를 접수하고 이를 다시 가공해 전파하는 소통의 주체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미국 IT시장조사 업체인 히트와이즈에 따르면 지난 3월 중순 페이스북 방문자 수가 구글 방문자 수를 넘어섰다. 이런 변화는 통신사나 단말기 제조사 또는 대형 포털과 사용자의 관계가 지금까지의 수직적 구조에서 수평적 구조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정보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ㆍ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의 인터넷 환경, 즉 진정한 웹 2.0 시대가 도래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우리 기업과 정부가 이러한 거대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과감하고 발 빠른 행보를 하고 있음은 다행스런 일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올해를 무선인터넷 강국의 원년으로 삼고 대형 단말기 제조사와 이동통신사가 콘텐츠 유통을 독점하던 기존의 시장 구조를 바꾸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부응해 이통사들도 네트워크, 단말기, 서비스 관련 중소기업이나 개인 개발자를 지원하는 모바일 콘텐츠 관련 대규모 펀드를 조성하고 쌍방 간 상생과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또 포털들도 그들만의 SNS 또는 연계된 정보 서비스를 만들어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오는 5월 25일 개최되는 국내 최대 IT전시회인 `월드 IT쇼`는 삼성, LG 등 SNS리더들이 최신 모바일 기기를 선보일 뿐 아니라 세계 유수의 글로벌 브랜드들도 다양한 IT 신제품을 선보이는 글로벌 각축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의 모바일 혁명 기술 수준과 열기가 어떠한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 세계 디지털 노마드족과 모바일 업계의 교류의 장이 될 것이다.
스마트폰 혁명으로 촉발된 디지털 노마드 시대에 또 한번의 진화를 통해 우리나라가 세계 1위 무선인터넷과 최고 수준의 모바일 콘텐츠 경쟁력을 갖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황중연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부회장]
==========================================================================
**앞으로 블로그와 트위트는 웹 콘텐츠의 쌍두마차가 될 것이다.
파이낸셜뉴스 IT/과학 2010.04.23 (금)
[스마트시대 소통경영] "임직원·소비자와 먼저 通하라"
서울경제 경제 2010.04.28 (수)
삼성·LG등 대기업·CEO들 블로그·트위터등 잇단 개설
사내외 '소통창구'로 활용
-The End-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기청, '모바일 1인 창조기업' 1만개 육성 (0) | 2010.05.01 |
---|---|
고령화 사회,고령사회, 초고령화 사회-유엔 기준 (0) | 2010.05.01 |
ISD[InvestorState Dispute]-국가간소송제도 (0) | 2010.04.28 |
한·중·일 FTA 산관학 공동연구 5월 6일 개최 (0) | 2010.04.28 |
韓·中 FTA 체결에 일본이 `화들짝` 왜? (0) | 201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