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C 기술이면, 휴대폰이 지갑이 된다는 거 아시죠? 휴대폰으로 결제를 해서 별다른 현금이나 카드가 필요없다는 의미에서 이런 표현을 썼는데요, 정부, 통신사, 금융사가 머리를 맞대고 NFC 활성화를 위해 논의를 했습니다.
■ NFC 기술이면 휴대폰이 지갑으로 http://blog.daum.net/kcc1335/3 ■ 스마트 폰 하나로 지갑, 열쇠, 헬스케어까지...이것이 NFC 기술! http://blog.daum.net/kcc1335/3340
|
인프라 구축은 물론이고, 표준화 마련 등과 같은 사안을 협의했는데요, 여기에는 SKT, KT, LGU+ 이동통신 3사와 신한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하나SK카드, 비씨카드,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한국 스마트카드 등 9개 카드사, 3개 금융 결제대행서비스(VAN) 최고 경영자가 모인 것이죠.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사실 2000년 초부터 추진돼었으나, 사업자간 주도권 다툼으로 인해 여러가지로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자리를 통해 그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NFC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공동의 전국 인프라망 구축 등을 위해 '그랜드 NFC 코리아 얼라이언스(Grand NFC Korea Alliance)'를 설립,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두 대의 스마트 단말기 약 10cm 이내의 거리에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통신 할 수 있는 '근접 무선통신' 기술의 하나입니다. 기존 모바일 RFID를 응용해 좀더 확장시킨 기술이죠. RFID는 리더가 태그의 정보를 읽을 수만 있는 반면에, NFC는 태그의 정보를 읽거나 쓰기가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NFC는 기기 상호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 NFC탑재 단말기간 콘텐츠 전송 및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RFID에 비해 응용분야가 다양합니다. NFC탑재 휴대폰을 전자화폐, 전자지갑, 전자티켓팅, 도어키, 신분증 등 `스마트카드'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명함, 전화번호, 사진, 음악 등을 지인과 손쉽게 공유하거나 교환할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오는 2014년경 총 1조1천300억 달러의 시장가치를 지닌 전 세계 모바일 결제 거래의 3분의 1(3천700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
협의체에서는 올해 4분기부터 NFC 기반 모바일 결제 공동 인프라를 본격적으로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이동통신 3사가 공동으로 대형 마트·편의점·SPC 프랜차이즈·주유소·커피 전문점 등 7대 전략가맹점을 중심으로 기존 신용카드와 NFC 모바일 카드가 동시에 이용 가능한 복합결제기 약 5만여대를 4분기부터 신규 구축합니다.
그 외 일반 가맹점을 대상으로는 VAN사가 기존에 구축된 결제기를 대·개체 하면서 NFC 모바일 카드 사용 가능한 복합결제기 약 7~10만대를 올해 안에 신규 구축 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한국스마트카드 등은 1단계로 서울·경기지역의 버스·지하철 등에서 활용중인 약 2만대의 결제 인프라와 전국 택시에 기구축돼 활용중인 13만대를 포함해 약 15만대의 결제 인프라도 추가로 NFC 기반 결제가 가능하도록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특정 카드사 카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스타벅스, 롯데마트, LG25시 등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결제기에서도 카드사 구분 없이 모든 모바일 카드가 공동 사용 할 수 있도록 개방할 예정입니다.
인프라 구축에 발맞춰 신한·현대·KB국민·롯데·하나SK카드·BC·VISA·마스타카드 등 카드업계도 적극적으로 모바일 카드 발급 및 확산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는데요, 삼성전자·LG전자·팬택 등 휴대폰 제조사는 올 하반기부터 신규 출시되는 스마트폰에는 NFC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해 나갈 예정이다. 이통사 등 관련사업자들은 연말까지 500만대 이상의 NFC폰이 공급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방통위는 향후 NFC 인프라 구축과 응용 서비스 발굴 및 표준화, NFC 시범 사업에 대한 세부방안 집행을 추진하는 한편, 금융위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춤하던 트위터, 국내 사용자수 400만명 돌파 (0) | 2011.06.13 |
---|---|
'미투데이·요즘' VS '페이스북·트위터' 경쟁 불붙는다 (0) | 2011.06.13 |
LTE보다 WiBro 먼저! KT WiBro 지원 스마트폰 HTC EVO 4G+ 등장 (0) | 2011.06.13 |
마이크 켈리(공화 의원), 한·미FTA 지연은 경제적 자해행위 (0) | 2011.06.13 |
소셜로 통하라…`인터넷소통협회` 내달 출범 (0) | 2011.06.13 |